httpsm.media-amazon.comimagesMMV5BZmFhNWY1MjEtZTkyZS00ZWIzLTk4ZWItMDM0MzliNmE1ZGZhXkEyXkFqcGc@._V1_FMjpg_UX1000_.jpg

🛍️ 온누리상품권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비 진작을 이끄는 핵심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온누리상품권은 2009년 첫선을 보인 뒤 지류·모바일·카드형으로 진화했습니다. 현재 1,700여 개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이용 장면
사진=인더마켓 온누리몰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10% 할인 판매입니다. 지류권은 시중 은행, 모바일·카드형은 ‘제로페이’·‘농협올원페이’·‘비플제로페이’ 등 20여 개 앱에서 할인 구매가 가능합니다.

최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 비중이 65%를 넘어섰습니다. QR·바코드 결제만으로도 잔돈 걱정 없이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어 MZ세대의 이용률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은행권도 적극적입니다. 새마을금고는 1만 원 이상 구매 시 최대 5만 원을 돌려주는 ‘Cashback+’ 이벤트를 진행했고, 우리카드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10만 원 이용 시 1만 원을 추가 캐시백합니다.

온누리굿데이 온라인몰
사진=온누리굿데이

온라인몰 확대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인더마켓 온누리몰’, ‘온누리굿데이’ 등 전용 플랫폼이 30곳을 넘어섰고, 롯데ON·SSG닷컴 같은 종합몰도 가맹 프로세스를 마무리하며 온누리상품권 결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통시장 장보기부터 택배배송까지 가능해져, 소비자는 편리함을 얻고 소상공인은 매출을 늘린다.” – 유통센터 관계자

정부는 9월 ‘동행축제’ 기간에만 4,856억 원어치의 온누리상품권을 판매했습니다. 여기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이 더해져 내수 회복에 큰 힘을 보탰습니다.

지류권은 5만·1만·5천 원권 세 종류로 구성됩니다. 1만 원 초과 결제 시 60%, 1만 원 이하 결제 시 80% 이상 사용하면 현금 거스름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처도 계속 넓어지는 중입니다. 노량진수산시장, 대구 서문시장, 광주 1913송정역시장 등 인기 관광형 시장은 물론, 일부 프랜차이즈 푸드코트·카페까지 가맹을 확대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생페이백’ 정책을 놓칠 수 없습니다. 일정 기간 온누리상품권 및 지역사랑상품권으로 결제한 금액에 대해 20만 원 한도 내 10% 추가 환급이 제공돼 알뜰 쇼핑이 가능합니다.

전문가들은 “전통시장과 디지털 결제의 융합이 가속화될수록, 온누리상품권은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더욱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 소비자 팁
① 모바일 앱으로 10% 할인 구매 후 즉시 결제
② ‘우리카드·새마을금고’ 이벤트로 이중 혜택 챙기기
③ 12월 방한 관광객 맞이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 추가 할인 노리기

마지막으로, 전통시장 특유의 온기를 느끼며 합리적 소비까지 가능한 온누리상품권은 앞으로도 대한민국 지역경제의 든든한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