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최대 티켓 재판매 플랫폼 티켓베이가 거래 구조의 공정성을 두고 다시 한 번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섰습니다.
ⓒ 티켓베이 공식 이미지
최근 국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티켓베이 상위 1% 판매자가 전체 거래량의 41%를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조승래 의원은 “부정 판매 알선·방조 가능성이 있다”면서 암표상 플랫폼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개인 간 자유 거래를 표방하지만 실제론 소수가 시장을 지배하는 구조입니다.”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문위원 보고서
티켓베이 측은 “우리는 단순 중개 플랫폼일 뿐”이라며 책임론을 거부했습니다.
플랫폼은 안전거래 서비스, 팬보증 제도, 에스크로 결제 등 피해 예방 장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K-팝·야구·뮤지컬 티켓 품귀 현상이 지속되면서, 프리미엄 거래를 노린 상습 판매자가 늘어나는 실정입니다.
실제 커뮤니티·SNS에는 “티켓베이를 조지라”는 공격적 표현까지 등장하며 소비자 불만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
현재 공연법 개정안은 정가 대비 10% 초과 시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예고돼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플랫폼 실명제·매출 자료 공유가 병행돼야 실효성이 커진다”고 조언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을 살펴보면, StubHub, Viagogo 등도 ‘스마트 바코드’와 블록체인 티켓으로 재판매 추적에 나서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프로야구 일부 구단이 다이나믹 QR을 도입해 암표 차단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소비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거래 수칙 준수입니다.
① 티켓베이 안심번호 사용
② 거래 내역 캡처 보관
③ 현장 모바일 티켓 실물화 확인 등을 실천해야 합니다. ✅
업계는 “티켓 양도 시장은 수요-공급을 완충하는 순기능도 있다”며 균형 규제를 촉구했습니다.
다만 투명한 데이터 공개 없이는 “공정성” 논란이 반복될 것이라는 지적이 큽니다.
한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상품 기획 단계부터 1인 1매 한정·본인 인증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소비 문화 자체가 정가 구매를 존중하도록 바뀌어야 한다는 견해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결국 티켓베이를 비롯한 재판매 플랫폼은 기술·제도·문화 세 축의 개선 없이는 성장 한계에 부딪힐 전망입니다.
라이브이슈KR는 향후 입법 동향·플랫폼 대응을 지속적으로 추적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