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설치된 정부합동대응팀 단장으로 현지에 파견돼 온라인 스캠·강제노동 피해 한국인 구조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MBC 뉴스
이번 파견은 캄보디아 태자단지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온라인 사기 조직에 한국 젊은 층이 대거 납치·감금됐다는 제보가 잇따른 데 따른 긴급 조치입니다.
2차관은 “범죄로부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일은 국가의 최우선 책무”라고 강조하며 캄보디아 내무·외교 당국과 연쇄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캄보디아 경찰은 지난주 한국인 구금자 59명의 ‘추방 예정’을 발표했지만, 실제 송환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정부합동대응팀은 신원 확인·여권 재발급·항공권 확보 등 행정 절차를 병행하며 실무 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양측이 모든 절차적 요건을 조속히 마무리하면 전세기·상업기 동시 투입 등 다양한 귀국 시나리오가 가동될 수 있습니다.” ― 외교부 관계자
현지 한국대사관·경찰 주재관·노무관도 TF에 합류해 구금 실태 파악과 병원·임시 보호소 확보 등 후속 지원망을 구축했습니다.
사진 출처: 머니S
태자단지 내부는 고용·통신·출입이 모두 조직폭력배 통제 아래 운영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곳에서 탈출한 피해자는 “한국인을 노린 로맨스 스캠·가상화폐 투자 콜센터가 24시간 가동됐다”고 진술했습니다.
김 차관은 캄보디아 훈 마넷 총리와의 면담에서도 “불법 구금·강제노동 근절을 위한 양국 공조수사·형사사법 공조”를 재차 요청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스캠 인신매매는 태국·라오스·미얀마 국경지대까지 확산되고 있어, 외교부는 메콩 지역 다자 협력체를 통한 공동 단속도 제안했습니다.
정부는 국내에서도 피해 지원 핫라인(0480-911)을 24시간 운영하며 가족 상담·법률·의료 서비스를 연계합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지 구금시설 인권 환경도 면밀히 점검 중”이라며, 국제이주기구(IOM)·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와 협업 계획을 밝혔습니다.
캄보디아 당국 역시 전국 스캠단지 일제 수색을 예고했고, 한국인을 포함해 최소 64명을 구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실제 숫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사진 출처: 대한민국 외교부 페이스북
전문가들은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디지털 성착취 n번방 사건 수사 경험을 가진 경찰·사이버수사 인력을 동반한 점”에 주목합니다. 이는 온라인 기반 인신매매 범죄에 특화된 대응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범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가시화되면서 피해자 보호·가해자 처벌 두 축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지 브리핑에서 2차관은 “재외국민 보호는 입법·사법·행정부가 함께 완수해야 할 헌법적 의무”라며, 국회·검찰·경찰·고용노동부 등과의 공조도 강조했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글로벌 인신매매 위험 지도’를 새롭게 제작해 11월 중 공개할 예정입니다. 동포 사회·유학생·워킹홀리데이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전 위험 경보를 상향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아울러 애초 취업 브로커를 믿고 입국했다 피해를 입은 청년층을 위해, 귀국 후 재취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지원됩니다.
“마지막 한 명까지 안전하게 귀국시키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국제 공조 틀을 확립하겠습니다.” ― 김진아 외교부 2차관
정부는 추후 송환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실시간 항공편·검역·이송 정보를 공개해 가족·언론과 투명하게 공유할 방침입니다.
캄보디아 현지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실질적 귀국 시점이 임박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온라인 스캠·인신매매가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님이 확인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해외 취업·투자를 미끼로 한 고위험 국가 접근 시 사전 대사관 확인을 필수로 당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