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금 가격이 다시 한 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선물시장에서 12월물 금 선물온스당 4,361.8달러*1까지 치솟으며 시장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금 선물 가격 급등 그래프

안전자산 선호금 시세를 밀어올리고 있습니다.” ― TD증권 댄 갈리 전략가

이번 금값 급등은 지정학적 긴장,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 미·중 무역 갈등 등 복합 악재가 동시에 부각된 결과입니다. 투자자들은 위험 회피 수단으로 다시 한 번 gold price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국제금융시장에서 XAU/USD 환율은 장중 4,375달러를 찍으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같은 시각 국내 한국금거래소 실시간 순금 시세도 g당 85,300원 선으로 올랐습니다.

Investing.com 금 차트

통화정책도 호재였습니다. 연준(Fed)이 금리 동결을 시사하면서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됐고, 상대적으로 금 가격 매력도가 확대됐습니다.

여기에 세계 각국 중앙은행금 보유량 확대가 수급을 더욱 긴축시키고 있습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3분기 중앙은행 순매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국내 투자자라면 ETF·ETN, 금 통장, KRX 금시장 등 다양한 간접 상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KRX 금현물시장0.2%의 낮은 거래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면 실물 투자를 선호한다면 골드바·돌반지 등 순금 제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부가가치세 10%와 공임·수수료를 함께 체크해야 합니다*2.

TradingView 금 아이콘

단기 투자 전략으로는 지지선 4,200달러·저항선 4,400달러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상 RSI가 과열권(70) 근처에 머무르고 있어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탈(脫)달러화 흐름, 인플레이션 리스크, 채권 수익률 정체 등이 금값 상승의 동인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6개월 내 4,500달러 돌파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투자 유의사항
금은 대표적 안전자산이지만 변동성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레버리지 상품·마진거래는 원금 손실 위험이 크므로 자신의 위험 성향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은행·증권사 금 통장의 경우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며, 환율 변동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실물 보관 비용, 보험료 등 부대비용도 꼼꼼히 확인하세요.

“금은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핵심 자산입니다. 비중은 10% 이하가 적정합니다.” ― CPM그룹 제프리 크리스천

📈 금 시세는 앞으로도 글로벌 정세와 경제 지표에 민감하게 반응할 전망입니다. 투자자는 경제 캘린더, 연준 회의록, 중동·우크라이나 지정학 리스크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gold price 랠리가 이어지더라도 단기 급등 시 차익 실현분할 매수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변동성 높은 장세 속에서도 체계적 접근으로 금 투자의 가치를 극대화하시길 바랍니다.✨


*1 기준 시점: 2025년 10월 20일 뉴욕장 마감가.
*2 국내 실물 금 매매 시 부가가치세와 공임은 판매처마다 상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