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사정기관의 기강 해이를 정면으로 지적했습니다.
사정기관은 검찰·경찰·감사원·국세청 등 공권력을 통해 불법 행위를 단속·수사·감찰하는 기관을 통칭합니다.
사진=경향신문
최근 국정감사에서는 검찰의 대기업 수사 축소 의혹과 감사원의 표적 감사 논란이 연이어 불거졌습니다.
“국민이 입을 벌리고 놀랄 정도의 행태는 결코 용서할 수 없습니다.” – 이재명 대통령
대통령의 강경 발언은 사정기관 공직윤리 강화와 투명성 제고를 향한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 여야 정치권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여당은 “공정한 법 집행을 위한 당연한 지적”이라며 힘을 실었고, 야당은 “사정기관 독립성 훼손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법조계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한 형사법 교수는 “견제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정치적 통제가 불가피”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동아일보
실제로 감사원 직원 징계 건수는 최근 5년간 24건에서 37건으로 54% 증가했습니다.국회 예결위 자료
그러나 같은 기간 검찰 내부 공직자 범죄 기소율은 18%에 그쳤습니다. 제도적 균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① 공수처 기능 강화 ② 감사원·검찰의 상호견제 시스템 구축 ③ 수사 과정 메타데이터 공개를 대안으로 제시합니다.
해외 사례도 참고할 만합니다. 미국은 DOJ 산하 OIG가 사정기관 비위에 독립적으로 대응하며, 일본은 검찰심사회 제도를 통해 시민이 기소 적정성을 판단합니다.
🚨 한편 시민단체 ‘투명사회넷’은 이날 성명을 내 “사정기관의 셀프 면죄부 구조를 해체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주 내로 전면 실태 조사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결과는 내달 초 국회에 보고됩니다.
향후 인사검증 강화, 징계 기준 상향, 내부고발자 보호가 병행될지 주목됩니다.
📊 한국행정연구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은 “사정기관 개혁이 시급하다”고 답했습니다.
투명성과 책임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권력은 신뢰를 잃습니다. 사정기관이 진정한 국민의 수호자로 거듭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