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1970년 창간된 Physical Review A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본지는 양자‧원자물리 연구의 산실로 자리 잡은 이 저널의 역사와 최신 동향을 집중 조명합니다.


Physical Review A는 광학, 원자·분자·광자(AMO) 물리, 양자 정보 과학 분야 논문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세계적 SCI 학술지입니다. 창간 이래 3만 편이 넘는 논문을 출판하며 지식 생태계를 확장했습니다.

특히 1995년 발표된 ‘양자 텔레포테이션 이론 검증’(Bennett 外)은 1만 회 이상의 피인용을 기록하며 양자 통신 연구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이번 50주년 기념호에는 레이저 냉각 2.0·리드버그 원자 군집 시뮬레이션 등 미래 응용을 가늠할 16편의 리뷰 논문이 실렸습니다. 🧑‍🔬 저널 측은 “다학제 융합을 통한 실험·이론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Physical Review A연구자가 ‘가장 먼저 읽는’ 양자 물리 플랫폼이 되어 왔습니다.” — 피터 엥글러브(편집장)


한국 과학계의 약진도 돋보입니다. KAIST·고려대 공동 연구팀은 이번 호에서 초전도 큐비트 잡음 억제 기술을 발표해 국내 최초 Editor’s Suggestion으로 선정됐습니다.

이 연구는 국가 양자 컴퓨팅 로드맵과 맞물려 산업계 협력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저널은 2017년부터 하이브리드 오픈 액세스를 도입해 데이터 공유 문화를 선도했습니다. 덕분에 전 세계 대학이 평균 20%의 구독료를 절감했습니다.

또한 APS(미국물리학회)는 AI 심사 보조 시스템 ‘RefereeNet’을 도입해 평균 심사 기간을 60일에서 38일로 단축했다고 밝혔습니다.


Physical Review A 50주년 기념 이미지
이미지 출처 | APS Journals

Impact Factor는 4.4에서 3년 만에 4.7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양자 센서, 광학 위상 단층 촬영 등 실용화 연구 비중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 투고 가이드라인을 보면, 최대 7500단어·10개 그림 제한, LaTeX 템플릿 사용, 데이터 리포지터리 의무화 등이 명시돼 있습니다. 저널은 ‘재현 가능성’을 위해 원 데이터 DOI 발급을 권장합니다.

심사료는 면제되지만 게재 승인 후 페이지 차지(page charge) 1페이지당 150달러가 부과됩니다. APS 회원과 개발도상국 연구자는 5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업계도 Physical Review A를 주목합니다. IBM·Google·삼성전자 등 글로벌 기업 R&D팀이 매년 30편 이상을 공동 게재하며 특허·학술 링크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양자 우월성 실험 재현’ 논문은 실리콘 밸리 VC의 투자 지표로 활용돼, 학계와 자본시장을 연결하는 가교가 되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는 저널의 ‘Teaching the Teachers’ 코너가 인기입니다. 🤖 양자 알고리즘 시뮬레이터, 홀로그래픽 실험 키트 등 교사용 자료가 무료로 제공돼 STEM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합니다.

서울대 물리학과 A 교수는 “대학원 세미나에서 Physical Review A를 주제별로 토론하며 학생 역량이 눈에 띄게 향상됐다”고 전했습니다.


미래 로드맵으로, 저널은 2026년까지 ‘Quantum Biology’ 챕터를 신설하고, 2030년까지 논문당 탄소발자국을 55% 감축한다는 친환경 출판 목표를 밝혔습니다.

또한 AR/VR 보조 논문을 도입해 독자가 실험 장비를 가상 공간에서 조작하며 이해도를 높이는 ‘인터랙티브 저널링’을 추진 중입니다.


정리하자면, Physical Review A는 지난 50년간 양자 물리 프런티어를 개척했습니다. 앞으로도 개방·융합·친환경을 키워드로 글로벌 과학 패러다임을 선도할 전망입니다. 🌐

라이브이슈KR는 향후 발행될 Physical Review AQuantum 2.0 특집호도 계속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심층 분석을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