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서문: 삼성전자 HBM이 다시 주목받는 까닭

삼성전자가 용인 삼성세미콘스포렉스에서 열린 ‘삼성기술전’에서 HBM4 시제품을 선보였습니다. AI 붐이 촉발한 고대역폭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 수요 급증이 배경입니다.


🚀 AI 반도체 생태계의 심장, HBM

엔비디아·AMD GPU에 탑재되는 HBM초당 1.2TB에 달하는 데이터 전송률로, 기존 DDR5를 압도합니다. 삼성전자 HBM은 AI 데이터센터에서 필수 부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2028년 HBM 시장 규모는 1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다.” – KB증권 보고서1)


⚙️ HBM4 vs. HBM3E: 무엇이 달라졌나?

HBM4는 스택 단수를 12단→16단으로 늘렸습니다. TSV(Through-Silicon Via) 공정을 개선해 대역폭 1.3TB/s, 전력 효율 25% 향상을 달성했습니다.

  • HBM3E 12단: 1.0TB/s
  • HBM4 16단: 1.3TB/s

🏭 생산 캐파 확대 전략

삼성전자는 평택 P5 라인과 미국 테일러 fabs에 HBM 전용 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6년 월 80K 웨이퍼까지 증설해 SK하이닉스와의 격차를 만회한다는 목표입니다.

삼성기술전 전경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뉴스트마토

🤝 엔비디아·AMD와의 협업 가속

차세대 GPU ‘B100’ 시리즈는 HBM3E를 넘어 HBM4 도입 검토 중입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큐브’ 패키지를 통해 열 문제를 최소화하며, AI SoC 설계사와 공동 최적화를 진행 중입니다.


📈 주가 영향: ‘10만전자’ 현실화

HBM 호재로 삼성전자 주가가 1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반도체 영업이익은 2025년 4분기부터 분기 5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큽니다.

10만전자 돌파
이미지 출처: 경향신문

🔬 기술 포인트: 열·전력 솔루션

미세 미림 본딩(MSB) 공정을 도입해 TSV 높이를 40% 축소했으며, Adaptive Voltage Scaling으로 칩 온도를 5℃ 낮췄습니다.


📊 시장 점유율 경쟁

2024년 SK하이닉스는 HBM3 점유율 46%로 1위였지만, 삼성전자는 2026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입니다.


🌐 글로벌 공급망과 리스크

미·중 반도체 규제, 소재·장비 확보가 변수입니다. 삼성전자는 일본·싱가포르 협력사를 통해 플립칩 볼그래드 어레이 수급 안정화에 나섰습니다.


💡 관련주·소재 기업 체크

TSV용 포토레지스트의 영창케미칼, 코어솔루션 등 후공정 장비사가 수혜를 받을 전망입니다.


📝 결론과 전망

HBM4 양산 시점은 2025년 3분기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 HBM이 AI 서버 시장 성장과 맞물리면서, 메모리 패러다임은 ‘고대역폭·저전력’으로 확실히 전환될 것입니다.

“HBM4는 AI 반도체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다.” – 반도체공학회 2025 포럼2)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HBM 생태계의 기술·투자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