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서울 영등포경찰서에 출석해 3차 피의자 조사를 받았습니다.

그는 조사에 앞서 “경찰을 보면 공포를 느낀다”며 구속 악몽이 재현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공개적으로 토로했습니다.


🗓️ 지난 10월 초 체포·석방 이후 23일 만의 재조사로, 공직선거법·국가공무원법 위반 의혹 수사의 마지막 기점이 될 전망입니다.

경찰은 “적법 절차에 따른 소환”이라고 강조했지만, 이진숙 전 위원장은 “직권남용으로 맞고발을 검토 중”이라고 맞섰습니다.

“대통령 편이 아니면 죄인이 되는 세상입니다.” – 이진숙 전 위원장 출석 발언 중

이 발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며 정치·사회권 공방을 키우고 있습니다.

경찰서 앞 이진숙 전 위원장
▲ 경찰 조사를 앞두고 입장을 밝히는 이진숙 전 위원장 (사진=JTBC 캡처)

전문가들은 3차 조사에서 ‘면담 요청이 선거운동에 해당했는지’, ‘업무상 지위를 이용했는지’가 핵심 쟁점이라고 분석합니다.

👥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관 기관장들과의 통화 기록·메신저 대화가 범죄 구성 요건을 가를 정황 증거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진숙 전 위원장 출석 장면
▲ 채널A가 공개한 출석 장면 (사진=채널A 제공)

검경 관계자는 “증거 보강 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한다”고 밝혀,향후 신병 처리가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습니다.

반면 변호인단은 “체포 다음 날 법원이 적부심을 인용한 전례가 있다”며 불구속 수사 원칙을 강하게 요구했습니다.

⚖️ 실제 법원은 ‘도주 및 증거 인멸 우려가 낮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는데, 경찰은 추가 소환 불응 가능성을 재구속 사유로 보고 있습니다.


또 다른 변수는 최민희 국회 과방위원장과의 ‘딸 결혼식 축의금·화환’ 논란입니다.

이진숙 전 위원장은 SNS에 “가증스럽다”는 표현까지 써가며 최 위원장을 맹비난했고, 여야 간 정치 공세로 확전되고 있습니다.

SNS 글 갈무리
▲ 동아일보가 보도한 SNS 갈무리 (사진=동아일보)

정치권 일각에선 ‘축의금 청탁’ 의혹본류 수사와 별도로 분리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이 경우 검찰 직접수사 전환 가능).

📰 한 정치평론가는 “사건이 길어질수록 여권·야권 모두에게 부담”이라면서 “검경-국회-언론을 모두 관통하는 복합 프레임”으로 규정했습니다.


🚩 결론적으로 이진숙 전 위원장 사건은 선거제·언론제도·공무원 윤리 등 복수의 이슈를 하나로 묶으며 정국의 뇌관으로 부상했습니다.

향후 일정은 ① 추가 참고인 조사 → ② 포렌식 분석 → ③ 신병·기소 결정 순으로 진행될 전망이며, 빠르면 11월 중순 윤곽이 드러납니다.

라이브이슈KR은 관련 속보판례 해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독자의 정보 격차를 최소화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