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S1200x63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03tvreport20250703010738890mblh.jpg

Cloudflare Error 완전 가이드: 403·522·524·1015·1034 원인과 해결법, 최신 동향과 사례 분석입니다

라이브이슈KR | IT·과학·트렌드 보안·가용성·성능 🛡️⚡

Cloudflare 커뮤니티 로고 및 인터페이스
이미지 출처: Cloudflare Community (global.discourse-cdn.com)

Cloudflare error(클라우드플레어 오류)는 전 세계 수많은 웹사이트가 사용하는 CDN·DNS·보안 프록시 구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 상태 메시지입니다.

동일한 ‘오류’라는 단어로 묶이지만, 코드별로 원인과 해결책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먼저 최근 동향부터 짚습니다. Cloudflare Status에는 에러율 관련 인시던트가 ‘Resolved’로 표시되었으며, 일부 WARP 관련 이슈를 Investigating 상태로 공지했습니다.

장애가 실제로 있었다면 상태 페이지를 통해 영향 범위와 시간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빠른 1차 대응입니다.

“Resolved – This incident has been resolved … Investigating – Cloudflare is investigating issues with Cloudflare WARP …” — Cloudflare Status

커뮤니티에는 최신 사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Error 1034 Edge IP Restricted 보고가 등장했으며, Shopify 연동 중 리다이렉트 루프 및 TLS/SSL 핸드셰이크 오류가 논의되었습니다.

또한 페이스북 링크 미리보기가 403 Forbidden으로 차단되는 현상이 운영 규칙 충돌로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Cloudflare Error 1015 rate limited 스크린샷
이미지 출처: X(트위터) / @PotOfGreedo (pbs.twimg.com)

이처럼 Cloudflare error는 운영 정책·인프라 상태·원서버 응답 등 여러 축이 얽혀 발생합니다.

따라서 코드별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자·운영자 시나리오로 나눠 체계적으로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보는 Cloudflare error 코드와 해석입니다

403 Forbidden: WAF/봇 규칙·사용자 에이전트 차단·Geo/IP 정책·Rate Limiting으로 차단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520/521/522/523/524: 원서버 문제, 네트워크 연결 실패, DNS 해석 문제, 타임아웃 등 오리진(Origin) 경로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525/526: TLS 핸드셰이크 실패 또는 유효하지 않은 인증서로 인해 발생합니다.

1015: Rate limited로, 과도한 요청이 감지되어 일시 제한되었습니다.

1020/1021: 사이트 보안 규칙을 위반했거나 접근 정책에 의해 차단되었습니다.

1034 Edge IP Restricted: 가장자리(엣지) IP 제한으로, 잘못된 레코드 설정이나 공급자 측 제약이 의심됩니다.


사용자(접속자) 측 빠른 점검 체크리스트입니다

1) 페이지 하단의 Ray ID를 기록해두면, 사이트 운영자가 원인 추적을 더 빨리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브라우저 캐시·쿠키 삭제 후 재시도하고, 시크릿 창·다른 브라우저·다른 네트워크로도 접근해봅니다.

3) VPN·프록시·WARP 사용 중이라면 잠시 해제하고 연결을 재시도합니다.

4) 로컬 시간 불일치가 TLS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OS 시간 동기화를 확인합니다.

5) 여전히 안되면, 오류 화면의 코드와 Ray ID를 포함해 운영자에게 전달합니다.


운영자(사이트 소유자) 측 근본 원인 분석 가이드입니다

DNS·프록시: A/CNAME이 올바른지, 회색/주황 구름(프록시) 상태가 적절한지 확인합니다.

오리진 상태: 방화벽·보안그룹·DDoS 장비가 Cloudflare IP를 차단하지 않는지, 헬스체크와 로그로 응답 코드를 점검합니다.

SSL/TLS: 인증서 유효성, ‘Flexible/Full/Full(Strict)’ 모드 적합성, 중간 인증서 체인과 SNI 설정을 검증합니다.

규칙 충돌: WAF·봇 차단·Rate Limiting·페이지 룰·변경 리디렉트 규칙이 상호 충돌하지 않는지 점검합니다.

캐시·리라이트: 캐시 키·엣지 TTL·URL Rewriting이 의도치 않은 루프를 만들지 확인합니다.

대규모 인터넷 장애 관련 보도 이미지
이미지 출처: Mashable (helios-i.mashable.com)

사례로 보는 ‘증상 → 원인 → 해결’입니다

사례 A — Error 1034: 커뮤니티에선 HubSpot 연동 후 Edge IP Restricted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경우, 잘못된 대상 IP·프록시 경로·제한된 엣지 세그먼트가 의심되며, DNS 구성을 재검증하고 공급자 가이드에 맞춘 CNAME/프록시 상태 조정이 필요합니다.

사례 B — 403 Facebook Preview: Facebook Crawler가 봇 차단 규칙과 충돌하면서 미리보기가 403으로 막혔습니다.

운영자는 Known Crawler 허용 또는 UA 조건으로 우회 규칙(Allow/Skip)을 추가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례 C — Shopify 리다이렉트 루프: ‘ERR_TOO_MANY_REDIRECTS’가 보고되며, CNAME 프록시·SSL 모드·앱 레벨 리디렉트가 중첩된 전형적 케이스입니다.

우선 DNS-Only로 전환해 루프를 차단하고, SSL 모드 및 301/302 규칙을 단계적으로 정리하는 방식이 권장됩니다.

“The errors ‘The page isn’t redirecting properly’ or ‘ERR_TOO_MANY_REDIRECTS’ indicates a redirect loop between Cloudflare and …” — Cloudflare Community


코드별 즉시 처방입니다

403/1020: WAF 규칙에서 Known Bots 허용, Geo/IP 정책 예외, 특정 경로에 한정한 Bypass를 설정합니다.

522/524: 오리진 방화벽에서 Cloudflare IP 범위를 허용하고, Keep-Alive·타임아웃 값과 백엔드 리소스를 점검합니다.

525/526: Full(Strict) 기준의 유효 인증서를 설치하고, 체인·SNI·서버시간을 재검증합니다.

1015: Rate Limiting 임계값을 상향 조정하되, 핫 경로만 예외 처리해 보안 수준을 유지합니다.

1034: A/CNAME 대상과 프록시 경로, 공급자 권장 레코드를 재구성하고, 필요 시 회색 구름으로 단계적 트러블슈팅을 진행합니다.


운영 효율을 높이는 관측·분석 방법입니다

에러율과 원인 추적을 자동화하려면, Cloudflare Changelog로 기능 변경을 모니터링합니다.

또한 워커스·엣지 함수 환경에서는 Dash0 연동 등으로 에러 레이트·트레이싱을 수집·분석하는 것이 유효합니다.

네트워크 지연 관련 포럼 대표 이미지
이미지 출처: Path of Exile 포럼 (web.poecdn.com)

사용자 메시지: challenges.cloudflare.com 관련 안내입니다

간혹 ‘Please unblock challenges.cloudflare.com to proceed.’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는 브라우저 검증(Challenge)이 필요함을 뜻하며, 브라우저/네트워크 확장 프로그램·광고 차단·프록시가 검증을 막지 않는지 점검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규모 장애와 개별 오류를 구분하는 요령입니다

과거에는 여러 대형 서비스가 동시 장애를 겪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다만 대규모 이슈는 상태 페이지·공식 채널에 즉시 반영되므로, Cloudflare Status와 사업자 공지를 우선 확인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핵심 정리: Cloudflare error는 코드·Ray ID·상태 페이지 3요소를 중심으로, 사용자·운영자 관점의 체크리스트를 병행하면 진단 속도와 복구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평시에는 규칙 충돌 방지관측 지표(에러 레이트·지연·핸드셰이크 실패)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