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e나라도움 복구 회의 현장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시스템 e나라도움이 28일 오후 전면 정상화됐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 이후 48시간 만에 주요 재정정보시스템을 긴급 복구했다고 밝혔습니다.


e나라도움이란? 해당 플랫폼은 중앙·지방정부의 보조금 교부·정산·평가 과정을 한눈에 보여주는 공공재정 허브입니다.

사업 신청부터 결과 보고까지 원스톱 전자 업무를 지원해 연간 70조 원 규모의 보조금이 투명하게 관리됩니다.


2025년 재정 집행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e나라도움의 가동률이 100%여야 합니다.” – 구윤철 부총리

이번 복구는 국고금 수납·보조금 집행 지연을 최소화해 소상공인·지자체의 자금 운용 차질을 막았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열린재정, dBrain+, 국세외수입 포털과의 연계까지 완료돼, 사용자 경험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습니다.


🛠️ 복구 과정은 두 단계로 이뤄졌습니다.

1단계는 백업 서버 스위칭, 2단계는 관계 부처 API 재연동과 보안 점검이었습니다.

현재 금융인증서·OTP·사설 인증 모두 사용 가능하며, 정부 인증서(GPKI)는 10월 초 완전 복구될 예정입니다*예정 일정은 변동 가능.


💡 사용자 체크리스트

① 접속 주소는 변함없이 www.gosims.go.kr 입니다.

② 접속 오류 시 브라우저 캐시·쿠키 초기화를 권장합니다.

③ OTP 재등록 이용자는 ‘마이페이지 → 보안관리’에서 즉시 재설정 가능합니다.


📊 복구 후 첫날, 시스템 동시 접속자는 평시 대비 165% 증가했습니다.

기재부는 AI 기반 트래픽 분산으로 지연 시간을 평균 0.8초까지 단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전문가들은 e나라도움이야말로 ‘디지털 통합 재정 플랫폼’ 전환의 시금석이라고 강조합니다.

향후 블록체인 전자문서빅데이터 분석이 도입되면, 부정수급 탐지 정확도가 최대 30%포인트 향상될 전망입니다.


👥 현장 반응도 긍정적입니다.

서울 강남구 A복지관 관계자는 “맞춤형 사업비 정산이 지연될까 우려했지만, 복구 이후 자동 계좌이체가 정상 작동해 안도했다”고 전했습니다.


✍️ 라이브이슈KR 취재 결과, 기재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3중 백업·분산 센터’ 구축 계획을 앞당길 방침입니다.

내년 1분기까지 클라우드-온프레미스 이중화 예산 480억 원이 우선 확보됐습니다.


📱 모바일 서비스도 강화됩니다.

10월 중순 ‘e나라도움 앱 2.0’이 출시되어 안드로이드·iOS 모두에서 생체인증 로그인과 푸시 알림 기능을 제공합니다.


🎯 결론적으로, e나라도움의 조기 정상화는 민·관 재정 흐름 안정과 투명성 제고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업데이트, 보안 강화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추적 보도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