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tcu_.or_.krhumanframethememoassetsimagescommonicon_foot_mark4.png

📈 EPS(Earnings Per Share)는 한 기업의 수익성을 한눈에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최근 글로벌 실적 시즌이 본격화되면서 투자자 사이에서 “EPS가 기대치를 웃돌았다” 또는 “EPS 쇼크가 발생했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1️⃣ 정의 : EPS당기순이익 ÷ 유통 주식 수로 계산됩니다. 낮은 PER을 찾을 때도 결국 분모로 쓰이는 값이 바로 EPS입니다.

💡 예시 : 당기순이익이 1조 원, 발행주식이 5억 주라면 EPS는 2,000원입니다.


2️⃣ 계산법과 해석 : 기본·희석 EPS*1로 나뉘며, 희석 EPS는 스톡옵션·전환사채 등을 모두 고려해 실제 주주가 받을 수 있는 순이익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합니다.

“EPS는 숫자 그 자체보다 전년 대비 성장률시장 예상치와의 괴리를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 KB증권 연구원


3️⃣ PER과의 관계 :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주가 / EPS*2입니다. 따라서 EPS 상승은 PER 하락 요인으로 작용해 주가 상승 여력을 설명합니다.

🔥 키워드 반복 – EPS 예측, EPS 서프라이즈, EPS 성장률


4️⃣ 포워드 EPS : 애널리스트들은 12개월 선행 Forward EPS를 제시해 미래 가치를 평가합니다. NASDAQ 자료에 따르면 Tesla의 2025년 3분기 컨센서스 EPS는 0.41달러입니다.

EPS chart
이미지 출처: Unsplash


5️⃣ 국내 기업 사례 : 삼성전자는 2024년 3분기 연결 기준 EPS가 1,680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수치로, 반도체 업황 개선이 반영됐습니다.

📊 한 glance – 카카오, 현대차, SK하이닉스 모두 EPS 개선세를 보이며 IT·제조 섹터에 EPS 성장 기대를 높였습니다.


6️⃣ EPS 서프라이즈 : 시장 컨센서스 대비 5% 이상 초과 달성 시 Positive Surprise로 평가합니다. 반대로 5% 이상 밑돌면 Shock로 분류돼 주가 급락 위험이 커집니다.

: 2025년 10월 Vertiv는 EPS 1.24달러로 시장 추정치(0.76달러)를 63% 상회, 장중 15% 급등했습니다.


7️⃣ EPS 분석 시 함정 : 일회성 이익 포함, 회계 기준 변경, 자사주 소각 등은 조정 EPS(Adjusted EPS)로 걸러내야 합니다.

🧐 따라서 EPS 조회 시 SEC·금감원 전자공시를 통한 원본 재무제표 확인이 필수입니다.


8️⃣ EPS 성장률 : 단순 단기 숫자보다 3년 복합 성장률(CAGR)이 주가 장기 추세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MacroMicro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나스닥100 Forward EPS는 연평균 11% 성장 중입니다.


9️⃣ 애널리스트 활용법 : 증권사 리포트는 목표주가, PER 밴드, EPS 추정치를 함께 제시해줍니다. 네이버·다트·Nasdaq과 같은 포털에서도 EPS 히스토리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분석 보고서
이미지 출처: Unsplash


🔟 섹터별 트렌드 : IT·반도체는 메모리 가격 반등으로 EPS 개선, 에너지는 유가 변동성으로 EPS 변동폭 확대, 소비재는 비용 절감 효과로 꾸준한 EPS 상승세를 보입니다.


1️⃣1️⃣ 실적 시즌 투자 전략 : 발표 전후 2주간 IV(내재 변동성)이 급등하므로 옵션·ETF를 활용해 리스크 헷지가 권장됩니다.


1️⃣2️⃣ 데이터 소스 : Nasdaq, MacroMicro, Bloomberg, 국내 HTS·MTS 모두 EPS 데이터 다운로드를 지원합니다.


1️⃣3️⃣ 결론 : 단일 수치로서의 EPS가 아니라 성장률, 컨센서스, 발표 시점 등을 종합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 흐름을 선제적으로 포착할 수 있습니다. 📌

👋 이상으로 라이브이슈KR이 전해드린 EPS 완전 정복 기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