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Figma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목전에 두고 디자인·투자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Figma란 무엇인가요? (2012년 설립) Figma웹 기반 협업 인터페이스 디자인 툴로, 실시간 공동 편집 기능 덕분에 “디자인계의 구글 문서”라는 별칭을 얻었습니다.

맥·윈도우용 데스크톱 앱도 제공하지만, 핵심은 브라우저 한 탭으로 어디서든 접속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실시간 협업은 Figma의 최대 강점입니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아트보드를 편집하고, 코멘트를 남기며, 버전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디자이너·개발자·PM이 하나의 링크로 의견을 교환하고, 파일 전송·버전 충돌 문제를 최소화했습니다.


가격 정책도 국내 이용자에게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Starter(무료)팀 2명·3 프로젝트 제한
Professional – 월 15달러
Organization – 사용자당 월 45달러
Enterprise – 커스텀 견적

이번 IPO 이후 가격이 조정될 가능성이 제기돼,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2025년 6월 공개된 Figma AI(베타)는 레이아웃 자동 생성·텍스트 요약·색상 제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현재 무료 베타이지만, 공식 FAQ에 따르면 향후 별도 과금이 예고돼 있습니다.

Figma IPO 이미지
이미지 출처: Figma 공식 블로그


💰 상장 세부 정보입니다. 2025년 7월 31일, 티커 “FIG”주당 33달러에 거래를 시작하며, 공모가 밴드(28~31달러)를 상회했습니다.

CNNBC·TechCrunch에 따르면 공모 단계에서 주문이 40배 넘게 몰려, 19.3억 달러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 업계 관계자는

Adobe의 200억 달러 인수 시도가 규제 당국으로 무산된 이후, Figma는 독자 노선을 택했고 이번 IPO로 대규모 자금을 직접 조달하게 됐습니다.”

라고 분석합니다.

결국 Figma vs Adobe XD 경쟁 구도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 국내 디자인 생태계에서도 Figma는 사실상 표준 도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대기업·스타트업은 물론, UI/UX 교육과정에서도 필수 과목으로 편성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공동 편집 기능 덕분에 재택·하이브리드 팀 간 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 실무 팁: 한국어 단축키는 Mac 기준 ⌘ + /로 도움말을 열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Auto Layout·Variants를 적극 활용하면 디자인 시스템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FigJam을 통해 워크숍·마인드맵까지 한 플랫폼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플러그인·API 생태계도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한국어 인기 플러그인 ‘모두의 아이콘’, ‘TailwindCSS Colors’ 등이 대표적입니다.

개발자는 Figma REST API로 디자인 토큰을 자동 추출해 CI/CD 파이프라인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 교육·인증 과정 역시 확대됩니다. Figma는 2025년 5월 Certified Professional Designer 배지를 출시했으며, 온라인 시험과 포트폴리오 리뷰로 자격을 부여합니다.

국내 주요 대학 UX랩이 교과과정에 인증 준비 과정을 편성하며, 수료 시 채용 가산점이 붙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 IPO 이후 로드맵에서는 3D 디자인·동시 번역·증강현실(AR) 협업 기능이 거론됩니다. Dylan Field CEO는 TechCrunch 인터뷰에서 “플랫폼 확장을 위해 인수·합병 가능성도 열어두겠다”고 밝혔습니다.

AI 기능 상용화와 가격 정책 변화가 사용자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 투자자 관점에서는 SaaS 평균 EV/S 12배 대비, Figma가 상장 시점 EV/S 25배 수준으로 고평가됐다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다만 높은 고객 락인 효과35% 이상 ARR 성장률이 프리미엄을 정당화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 요약합니다. Figma는 혁신적인 협업 디자인 플랫폼 위상을 IPO로 공고히 다질 예정입니다. 사용자는 기능·가격 변화를, 투자자는 성장성·수익화 전략을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라이브이슈KR은 Figma 관련 후속 소식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