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 Google DeepMind가 새로운 세계 모델 ‘Genie 3’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모델은 텍스트 한 줄만으로도 인터랙티브한 2D·3D 환경을 즉시 생성하며, 생성형 AI 기술의 방향을 다시 한 번 재정의했습니다.


Genie 3 시연 이미지
출처: Google DeepMind 공식 블로그

Genie 3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멋진 데모’에 그치지 않습니다. 모델이 만든 공간 속 사물은 실시간 물리 엔진이 적용돼 충돌·중력·탄성까지 묘사되며, 사용자는 키보드·컨트롤러 입력으로 즉시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버전은 작년 공개된 Genie 2 대비 해상도·안정성이 대폭 향상됐습니다. DeepMind 연구진은 “파라미터를 30억 개 이상 확장했고, 다중 모달 학습을 통해 ‘장면 기억’ 지속 시간을 60초로 늘렸다”고 설명했습니다1.


🎮 게임 개발 분야에서는 프로토타입 제작 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전망입니다. 텍스트로 맵을 생성해 즉시 밸런스를 테스트할 수 있어 인디부터 AAA 스튜디오까지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 교육‧훈련 영역에서도 파급력이 큽니다. 의료 시뮬레이션·항공기 비상 대처 훈련 등 실제 촬영이 어려운 시나리오를 가상 환경으로 복제해 학습자에게 반복 경험을 제공합니다.


Genie 3 가상 환경
출처: Engadget

🚗 로봇 공학 연구진 역시 Genie 3를 반깁니다. 실제 창고·도로를 스캔한 뒤 세계 모델에서 로봇을 학습시키면, 하드웨어 비용 없이 방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DeepMind는 “단일 파운데이션 모델이 입력·관찰·행동의 선순환을 가능하게 했다”며, 기존 강화학습 환경 구축에 소요되던 시간·자원을 최대 90% 절감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술적 핵심은 ‘명령어 기반 영역 분해(Command-Conditioned Region Decomposition)’입니다. 이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객체·행동·배경·물리 규칙으로 나눠 병렬 생성함으로써 지연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데이터 측면에서는 50억 장 이상의 게임 플레이 영상·실사 영상·만화 프레임 등을 프레임 단위 동시 학습했습니다. 덕분에 픽셀·벡터·행동 로그를 한꺼번에 추론할 수 있습니다.

Genie 3의 일관성(consistency)은 규모 확장의 ‘발현 능력’” ― 논문 저자 브리핑 중


산업계도 즉각 반응했습니다. 유니티·에픽게임즈는 Genie 3용 SDK를 검토 중이며, 메타버스 스타트업들은 ‘프롬프트형 월드빌더’를 표방한 베타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 AI 스타트업들은 자체 데이터셋 결합 전략을 모색합니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한국형 도시·도로 데이터를 조합해 스마트시티 시뮬레이터를 먼저 선보이겠다”고 전했습니다.


🤔 그러나 윤리·안전 과제도 존재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게임·영화 IP가 무단 재현될 가능성, 위험 시나리오 생성 시 통제 장치 부재 등이 논란입니다.

DeepMind는 “콘텐츠 안전 필터와 ‘행동 제한 토큰’으로 불법·유해 장면을 차단한다”면서도, “커뮤니티 피드백을 반영해 추가 가드레일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전문가들은 Genie 3를 AGI(범용 인공지능)로 가는 전환점으로 평가합니다. ‘행동 가능한 지식’을 실시간으로 테스트할 수 있어, 언어모델 중심 AI가 겪던 한계를 보완한다는 분석입니다.

향후 Genie 3가 VR·AR 헤드셋·자율주행 시뮬레이터 등과 결합되면, 사용자는 “명령→세계 생성→직접 체험”의 사이클을 일상처럼 누리게 될 전망입니다 ✨

라이브이슈KR는 향후 SDK 배포 일정·국내 협력 사례를 지속 추적하며, Genie 3가 가져올 생성형 AI 트렌드의 변화를 심층 보도하겠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