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unsplash.comphoto-1502082553048-f009c37129b9autoformatfitcropw1350q80

🚀 엘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xAI가 지난주 발표한 Grok Imagine이 전 세계 디지털 크리에이터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이 서비스는 이미지·영상 생성에 특화된 인공지능으로, 불과 수 초 만에 고해상도 결과물을 출력한다는 점에서 기존 MidjourneyDALL·E 3과의 차별성을 강조했습니다.


첫 번째 특징은 속도입니다. xAI는 “실시간 검색·연산 아키텍처 덕분에 1프롬프트당 평균 3.4초HD급”이라는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두 번째 특징은 ‘Spicy Mode 🌶️’입니다. 이는 성인 콘텐츠나 과감한 예술 표현에 대해 완화된 검열을 적용해 창작의 자유를 넓혔다는 설명입니다.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되, 법적·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지키도록 설계했습니다.” ― xAI 발표 자료 中

세 번째는 이미지 → 영상 변환 기능입니다. 단일 사진을 업로드하면 최대 8초 분량움직이는 클립으로 변환해 주어 소셜미디어 활용도가 크게 높아졌습니다.


Grok Imagine 발표 장면

이미지 출처: PetaPixel

현재 iOS‧Android용 Grok 앱에서 해당 기능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원래 ‘SuperGrok’ 구독자에게만 제공되던 옵션이 전면 개방되면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습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앱에서 ‘Imagine’ 탭을 누르고 프롬프트를 입력하거나 사진을 첨부하면 됩니다. 결과물은 X(구 트위터)·인스타그램·틱톡에 원클릭 공유가 가능합니다.


경쟁 서비스와 비교하면 속도·검열 정책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Midjourney v6는 평균 12초 이상, DALL·E 3는 15초 이상이 소요되는 반면 Grok Imagine은 5초 내외를 유지합니다.

다만 지나치게 완화된 ‘Spicy Mode’가 콘텐츠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미국 MIT Tech Review는 “미성년자 접근 차단 장치가 충분한가”라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Grok Imagine 인터페이스 화면

이미지 출처: Orbital Today

시장 반응은 뜨겁습니다. 출시 하루 만에 앱스토어 생산성 부문 1위에 올랐고, X에서는 ‘#MadeWithGrok‘ 해시태그가 50만 회 이상 언급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크리에이터 경제의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을 높게 평가합니다. 빠른 제작 → 즉시 배포 → 수익화가 하나의 파이프라인으로 묶였기 때문입니다.


실제 사용 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짧고 직관적인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② 원하는 스타일을 콤마로 구분해 열거합니다.
③ ‘–ar 16:9’처럼 비율을 명시하면 SNS용 영상이 최적화됩니다.

또한 베타 단계이지만 ‘비디오 브랜딩 워터마크’ 삽입 기능이 제공돼 저작권 보호에도 대비할 수 있습니다.

한편 xAI는 “국제 서버 증설이 완료되는 올해 4분기부터 한국어 인터페이스를 공식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스타트업과 광고 업계도 협업 가능성을 타진 중입니다.

🔍 종합적으로 Grok Imagine속도·자유도·멀티모달이라는 세 가지 축으로 AI 창작 시장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다만 ‘책임 있는 AI’라는 숙제를 해결해야 진정한 대중화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