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고스트 영입·포지션 전환설, 사실과 관측 사이
KT 롤스터의 바텀 리빌딩과 맞물려 ‘고스트(Ghost)’ 카드가 거론되는 배경과 현실성을 다각도로 점검합니다.

KT 롤스터의 바텀 구성이 재편 국면에 들어서며, 커뮤니티에서 ‘KT 고스트’ 시나리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커뮤니티 X(구 트위터)에는 “KT의 서포트 후보”를 묻는 투표 글이 올라오며 베릴(BeryL), 폴루(Pollu)와 함께 고스트 이름이 언급되었습니다링크.
관건은 ‘포지션 전환’ 가능성입니다. 고스트는 본래 원거리딜러(ADC)로 2020년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이끈 베테랑입니다.
다만 최근 LCK 공식 무대에서의 출전 빈도는 제한적이었다는 평가가 이어졌으며, 경기 감각과 메타 적응이 핵심 변수로 꼽힙니다.

그럼에도 KT 고스트 시나리오가 회자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첫째, 바텀 라인전 이해도가 매우 높은 선수라는 점입니다.
둘째, 대회 경험과 샷콜링 보조 자산을 서포트 포지션에서 전술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메타가 탱-이니시 서포트와 유틸-한타 설계형을 오가며 진동하는 구간에서는, 바텀 이해도가 높은 베테랑의 전환 카드가 단기 임팩트를 낼 수 있습니다.”
반면 리스크도 분명합니다. 포지션 전환은 시야 장악 루틴, 초중반 로밍 타이밍, 서포트 아이템 경제 등 체계가 완전히 다릅니다.
또한 현재 패치에서도 렐·노틸러스·라칸 류의 이니시에이터와, 바드·세나·애쉬 같은 변형 유틸 카드가 순환하며, 챔피언 폭과 상황 대응력이 절대적입니다.

같은 테이블에 오르는 베릴은 이미 월즈 2회 우승 경험을 지닌 정통 서포트입니다. 거시적 시야 운영과 비주류 픽 운용이 장점입니다.
폴루는 상대적으로 정보가 적지만, 내부 육성 카드로서 호흡 적응의 빠르기와 팀 색 맞춤에서 장점이 부각된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KT 입장에서는 세 카드의 비용-효용과 단기-장기 균형을 저울질해야 합니다. 베릴은 즉시전력형이지만, 팀 컬러와의 궁합을 미세 조정해야 합니다.
고스트는 포지션 전환이 성공할 경우 바텀 듀오 상호 이해 측면에서 독특한 시너지가 기대되지만, 적응 기간과 실전 검증이 필요합니다.
폴루는 전력 상한치의 불확실성이 있지만, 코칭 철학과 개발 여지를 전제로 중장기 플랜에 부합합니다.
KT 고스트 논의가 힘을 얻은 배경에는, 오프시즌에 터지는 대형 이슈와 LCK 판도 재편도 있습니다.
동기간 정글·바텀 대형 이적설과 주요 팀의 트라이아웃 소식이 연쇄적으로 퍼지며, KT의 선택지에 대한 팬 관심이 최고조로 치솟았습니다.
다만 취재 결과, KT 구단의 공식 발표나 등록 공시는 현시점에서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클럽 확인 전까지는 관측 단계로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체크포인트 요약 ☑
– 고스트: ADC 출신 베테랑, 포지션 전환 시 독특한 시너지 vs 적응 리스크 존재
– 베릴: 즉시전력·거시 운영 강점 vs 팀 컬러·밴픽 조율 필요
– 폴루: 내부 성장 카드 vs 상한치 검증 필요
실무 관점에서 KT는 듀오 파트너와의 궁합, 코칭스태프의 픽 철학, 스페셜 1~2개 카드를 축으로 최적 조합을 찾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드래곤 타이밍 포지셔닝과 전령/미드-봇 로테이션은 2025 시즌도 승부의 분기점이며, 서포트의 정보 수집·콜링 품질이 팀의 승률을 좌우합니다.
결론적으로, ‘KT 고스트’는 흥미로운 옵션이지만, 공식 확정 전까지는 전략 가설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KT가 베릴·폴루·고스트 중 누구를 선택하든, 핵심은 메타 적합성과 팀 아이덴티티를 일치시키는 데 있습니다.
향후 구단 발표, 로스터 등록 공시, 스크림 리포트가 이어지면 ‘KT 바텀 2025’의 윤곽이 빠르게 드러날 전망입니다. 변화의 초침이 바텀 라인에서 다시 움직이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