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 이용자가 모르는 사이 이루어지는 무단 소액결제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피해를 예방하려면 즉각적인 차단 설정이 필수입니다.
최근 수도권 70여 명이 새벽 시간대에 4,500만 원 넘는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찰과 과기정통부는 민·관 합동조사단을 꾸려 원인을 분석 중입니다.
KT는 9일 공식 공지를 통해 “5일 새벽부터 비정상 결제 시도를 선제 차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휴대전화 소액결제는 기본값이 ‘사용’으로 열려 있어, 원천 차단을 하지 않으면 언제든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
이 기사에서는 KT 소액결제 차단 방법과 함께 해지·한도 조정·피해 대응 요령을 3분 만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이미지 출처: 금강일보
1️⃣ 마이케이티 앱으로 원천 차단하기
1. 마이케이티 앱 실행 → ‘마이’ 메뉴 진입합니다.
2. 요금/서비스 > 휴대폰 결제 내역 순으로 이동합니다.
3. ‘한도 변경’을 눌러 금액 선택란에서 ‘차단’을 선택 후 저장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 모든 콘텐츠·게임·구독 결제가 즉시 중단됩니다.
2️⃣ PC 웹(KT닷컴)에서 설정하기
웹브라우저 접속 후 ‘마이 > 요금 조회 > 휴대폰 결제’ 경로는 앱과 동일합니다.
PC 화면에서는 한도(5만·10만·30만 원) / 차단 옵션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알뜰폰(MVNO) 사용자는 각 사업자 고객센터 페이지에서 같은 메뉴를 찾아야 합니다.
▲ 이미지 출처: YouTube ‘1분미만’ 캡처
3️⃣ 114 고객센터 음성 메뉴 활용
통화 앱에서 114 → 0번(상담사) 연결 후 ‘소액결제 차단 요청’이라고 말하면 됩니다.
음성 상담은 24시간 가능하지만,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 정보를 질문받을 수 있습니다.
4️⃣ 한도 축소 vs. 완전 차단
• 한도 축소: 월 5,000원 등 최소 한도로 설정해 정기결제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완전 차단: 모든 결제 창구가 막혀 추가 피해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제거합니다.
전문가들은 완전 차단 후 필요한 서비스만 카드결제로 전환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5️⃣ 해지(재사용) 절차
다시 소액결제를 사용하려면 동일 경로에서 ‘차단 해제’만 선택하면 즉시 복구됩니다.1
1단, 일 1회만 변경이 가능해 잦은 온·오프 반복은 제한됩니다.
6️⃣ 피해 발생 시 조치
① 결제 내역 확인 후 즉각 차단
② 114 또는 고객센터(080-515-9000)로 이의제기
③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ECRM) 접수2
2접수 번호를 통신사·PG사에 제출하면 환불 절차가 빨라집니다.
7️⃣ 스미싱·피싱 주의보 🚫
‘소액결제 피해 확인’이라는 문구로 APK 설치 링크를 보내는 사례가 급증했습니다.
출처 불명의 URL은 절대 누르지 말고 즉시 삭제해야 합니다.
8️⃣ 가족·자녀 계정 관리 팁
미성년자 명의 회선은 부모 명의로 통합 관리하면 콘텐츠 구매 알림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9️⃣ 다른 통신사 동일 방법 적용
SKT·LGU+도 모바일·웹·고객센터 경로가 비슷하며, ‘휴대폰 결제 차단’ 메뉴 명칭만 다릅니다.
🔟 결론
무단 소액결제는 늘 ‘취침 시간’과 ‘초기 비밀번호 미설정’ 틈을 파고듭니다. 원천 차단이 가장 빠른 보안 솔루션입니다.
오늘 바로 3분 투자해 KT 소액결제 차단을 완료하고, 안전한 모바일 생활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