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 트윈스가 스토브리그 첫 단추로 선택한 이름은 장현식입니다.
구단은 4년 총 52억 원이라는 굵직한 숫자를 제시하며 불펜 강화를 선언했습니다.
장현식은 NC·KIA를 거친 뒤 우승 DNA를 품고 잠실에 입성했습니다.
특유의 묵직한 직구와 슬라이더는 이미 KBO 무대에서 검증된 무기였습니다.
▲ 사진 출처: LG 트윈스 구단
하지만 최근 청백전에서 기록한 ⅔이닝 1실점은 팬들에게 작은 숙제를 남겼습니다.
특히 볼 끝이 높게 형성되며 장타 위험구가 잦았다는 분석이 이어졌습니다.
“연습경기에서도 실점하고 강판당했다”는 온라인 후기가 빠르게 확산됐습니다. 🧐
▲ 사진 출처: DCInside LG 트윈스 갤러리
그럼에도 구단이 52억 원을 투자한 핵심 이유는 명확합니다.
첫째, 포스트시즌 불펜 구멍을 막을 즉시 전력이라는 판단입니다.
둘째, FA 시장에서 혹독해진 샐러리캡을 고려할 때, ‘검증된 자원 선점’이 최우선 전략이었습니다.
장현식은 “LG 팬들의 열정을 마운드 위에서 증명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NC·KIA 시절 얻은 경험을 토대로 포스트시즌에서 강한 투수가 되겠다”는 각오도 밝혔습니다.
▲ 사진 출처: 조선비즈
올 시즌 LG의 팀 블론세이브는 총 25개로 리그 5위권이었습니다.
‘승리를 지키는 야구’가 절실한 상황에서 장현식의 합류는 계산된 승부수로 해석됩니다.
변수도 있습니다.
작년 팔꿈치 미세 통증으로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된 경험이 있어 체력 관리가 관건입니다.
코칭스태프는 구위 유지 비결로 피칭 밸런스 점검과 피로 누적 시 즉각 휴식을 제시했습니다.
실제로 스프링캠프부터 1+1 불펜 운용을 검토하며 등판 간격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팬덤도 기대 반, 우려 반입니다.
LG 트윈스 갤러리에는 “매년 13억 원이 통장에 찍히는데 웃지 않을 이유가 있냐”는 농담부터, “연습경기에서도 흔들린다”는 직설적 비판까지 다양한 반응이 이어집니다. 😅
한편 장현식의 합류로 샐러리캡이 만원 상태가 되면서, 구단의 추가 영입 시나리오는 사실상 멈췄습니다.
따라서 내부 자원 육성과 불펜 롱릴리프 조정이 동반돼야 시너지가 극대화됩니다.
결국 2025 포스트시즌 성패는 ‘장현식의 7·8회 셋업 성공률’에 달려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팬들은 그의 별명 ‘잠실 방패’가 현실이 되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
관전 포인트 정리
- 초중반 직구 평균 구속 150km/h 회복 여부
- 좌타 상대 피안타율 개선 과제
- 포스트시즌 불펜 셋업–마무리 라인과의 시너지
- 52억 투자 대비 WAR 상승폭
LG 트윈스는 ‘우승 창’에 이어 ‘불펜 방패’까지 장착했습니다.
이제 장현식이 그 방패를 빛나게 할 차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