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9월 22일부터 무주택 청년·신혼부부를 대상으로 2025년 3차 매입임대주택 LH청약 접수를 시작했습니다.

총공급 물량은 2,643호입니다. 유형별로 청년 매입임대 1,232호·신혼·신생아 1,411호로 구성돼 다양한 주거 수요를 충족합니다.


LH 매입임대주택 설명 이미지
▲ 출처 : 이데일리

LH청약플러스공공·매입·전세임대 등 모든 LH청약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는 종합 플랫폼입니다. 모바일·PC 모두 지원해 접근성이 우수합니다.

“청년주택은 시세 40~50% 임대료, 신혼·신생아Ⅰ은 30~40% 수준”*LH 보도자료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19세∼39세 청년·대학생·취업준비생이 대상입니다. 계약은 2년 단위 재계약으로 최장 10년 거주할 수 있습니다.

신혼·신생아 유형은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가 신청 가능합니다. 전용 44~59㎡ 주택이 다수라 ‘방 두 개’ 수요를 충족합니다.

임대보증금은 인근 시세의 30~50%에 책정되며, 전세금 대출 지원과 중복되지 않습니다※중복수혜 방지.


청년 매입임대 안내
▲ 출처 : 매일일보

신청 일정은 9월 22일(월)~10월 4일(금) 18시까지입니다. 서류제출은 10월 7일~11일, 당첨자 발표는 11월 15일 예정입니다.

접수 방법은 apply.lh.or.kr 또는 LH청약플러스 앱 로그인 후 ‘매입임대 → 청년·신혼’ 메뉴에서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필요 서류는 주민등록등본·가족관계증명서·소득증빙 등이며, ‘미리서류제출’ 서비스를 활용하면 스캔·업로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LH 공식 배너
▲ 출처 : LH뉴스룸

전문가들은 수도권 청년형 경쟁률이 평균 15:1 이상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서울 759호·경기 542호 등 인기 지역은 선호도가 높으므로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꿀팁으로 ‘사전 무순위 청약’ 완료 후 본 청약에 도전하면, 낙첨 시 자동 이월돼 기회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공공주택은 생애 최초 주택 마련 사다리” – 부동산연구원 김도현 소장

정부는 2026년까지 매입·전세임대 8만 호 공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번 LH청약 접수는 해당 로드맵의 첫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관련 문의는 LH콜센터(1600-1004) 또는 지역본부로 연락하면 됩니다. 모바일 챗봇 ‘마이홈’도 24시간 상담을 제공합니다.

📎 CHECK LIST
① 자격 요건 재확인
② 임대료·보증금 시뮬레이션
③ 서류 스캔 해상도 300dpi 이상 권장
④ 신청 후 ‘마이페이지’에서 접수증 다운로드


🌟 요약 : LH청약 2025년 3차 매입임대는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실질적 주거 대안입니다. 온라인 접수만으로 절차가 간편하므로, 신청 기간 내 서둘러 도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