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중국 LPL 2025 스플릿3 플레이오프 현장 르포

2025년 LPL 스플릿3 플레이오프가 난징 e스타디움에서 개막했습니다. BLG·JDG·iG·EDG가 4강 대진을 확정하며 중국 e스포츠 팬들의 열기가 뜨겁습니다.


1. 4강 진출 팀 한눈에 보기 🔥

정규 시즌 1위 BLG와 2위 JDG는 상위 브래킷에서, iGEDG는 패자 브래킷에서 올라왔습니다. 정규 시즌 MVP는 TES ‘JackeyLove’가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선 각 팀의 에이스들이 새 영웅으로 떠올랐습니다.


2. BLG VS JDG—궁극의 재대결

BLG vs JDG 썸네일출처: YouTube Onivia

지난 MSI에서 치열한 5세트 승부를 펼친 두 팀이 다시 만났습니다. 탑 라이너 Bin369의 맞대결은 전략적 밴픽draft 단계부터 뜨거운 화제를 만들었습니다.


3. 핵심 키 플레이어 분석

“정글 주도권을 잡는 팀이 시리즈를 지배한다.” – LPL 공식 분석 데스크

BLG의 Xun은 평균 선취점 관여율 78%를 기록했고, JDG Kanavi는 초반 15분 골드 격차 +579G로 리그 1위를 달립니다.


4. iG VS EDG—새 얼굴 대 전통 강호

iG는 신예 Morey의 폭발적인 조이 플레이로 화제입니다. 반면 EDG는 베테랑 Scout이 ‘체급 증명’을 선포했습니다.

iG vs EDG 경기를 알리는 포스터출처: LPL English


5. 플레이오프 경기 방식

더블 엘리미네이션 구조로 상위 브래킷 패배 팀도 하위 브래킷에서 재도전 기회를 얻습니다. 결승은 5전 3선승제, 패배 팀은 1세트 밴 카드 한 장을 잃는 불리함이 있습니다.


6. 국제 팬 시청 가이드 🌍

2025 시즌부터 공식 영문 중계권이 사라지면서, 전 경기 글로벌 코스트리밍 체제로 전환됐습니다. 한국 시청자는 Twitch·YouTube에서 ‘LPL EN’ ‘Onivia Highlights’ 채널을 검색하면 실시간 해설을 들을 수 있습니다.


7. 핵심 패치 메타

12.19 패치 기준 이블린스웨인 픽률이 급상승했습니다. 평균 KDA 4.2를 기록한 JDG Ruler은 밴 1순위로 떠올랐습니다.


8. 데이터로 보는 LPL

초반 10분 킬 평균 3.4회, 경기당 드래곤 획득 2.8마리로 ‘속도전’ 양상이 두드러집니다. 자료: LPL StatsLab


9. 월드 챔피언십 시드 경쟁

LPL은 올해도 4장 직행 티켓을 보유합니다. 플레이오프 최종 3위까지는 자동 진출, 4위는 리저널 퀄리파이어에서 마지막 한 장을 두고 경쟁합니다.


10. 팬 문화와 현장 이벤트 ✨

X(구 트위터)에서는 ‘#JDGWin’ ‘#iG飞升’ 해시태그가 트렌드를 점령했습니다. 팬들은 선수 포토카드·응원봉을 직접 제작해 배포하며 색다른 경기 관람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11. 경제적 파급 효과

중국 산업정보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5 LPL 스플릿3 광고 매출은 6억 위안 규모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년 대비 18% 상승한 수치입니다.


12. e스포츠 인프라 확장

난징시는 e스포츠 복합단지 조성을 발표했습니다. 경기장, 숙소, 콘텐츠 스튜디오를 한데 모아 선수와 팬 모두를 위한 ‘e스포츠 허브’를 구현한다는 계획입니다.


13. 전문가 전망

분석가들은 “BLG객관적 전력 1위지만, 단판 변수와 메타 적응력이 뛰어난 EDG가 다크호스”라고 평가합니다.


14. 관전 포인트 정리

  • 정글 주도권: Xun vs Kanavi
  • 원딜 캐리력: Ruler·Elk
  • 미드 라인전: Scout·Yagao의 시야 싸움
  • 패치 12.19 신규 아이템 ‘하늘파괴자’ 활용 여부

15. 결론—결전은 이제 시작입니다

이번 LPL 플레이오프는 ‘속도·전략·연출’ 세 박자를 모두 갖춘 e스포츠 축제입니다. 4강전은 9월 10~11일, 결승전은 9월 15일 오후 7시에 열립니다. 이 열기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