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기후환경 프로젝트 ‘남극의 셰프’가 오늘 밤 MBC에서 첫 선을 보입니다. 11월 17일 저녁 10시 50분 첫 방송이며, U+tv·U+모바일tv에서는 같은 날 0시 선공개가 진행됩니다 YouTube/STUDIO X+U 예고편 🐧🍳.


MBC와 STUDIO X+U가 공동 기획한 이번 프로그램은 남극 세종과학기지를 비롯한 극지 기지를 찾아 월동대원에게 ‘따뜻한 한 끼’를 대접하는 여정을 담았다고 소개됩니다 연합뉴스TV·머니투데이.

출연진은 요리연구가 백종원과 배우 임수향·채종협, 그룹 EXO의 수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네 명의 팀은 혹한의 환경에서 안전과 과학, 보급의 제약을 고려해 현실적인 레시피를 구현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남극의 셰프 1화 예고 썸네일
이미지: STUDIO X+U YouTube 예고편 캡처 | 출처: YouTube

예고 영상에 따르면 제작진은 영하 70도에 육박하는 남극에서 전 세계 기지를 향해 도전합니다. 극지의 풍속·화이트아웃·빙설 지형이 더해져 이동 자체가 서사가 되는 장면이 예고됩니다 YouTube 예고 ❄️.

방송 편성은 MBC 11월 17일(월) 22:50 첫 방송, U+tv·U+모바일tv 0시 선공개로 공지됐습니다. 실시간 시청과 다시보기는 각 플랫폼 정책과 편성표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YouTube/STUDIO X+U.

iMBC는 첫 회에서 세종과학기지 도착까지의 험난한 여정과 ‘남극 신고식’이 공개된다고 전했습니다. 기상 악화로 인한 출항·상륙 변수, 인원·장비·식재료 동선 등 로지스틱스의 현실을 직접 보여줄 전망입니다 iMBC 연예.

iMBC 제공 스틸컷
이미지: iMBC 제공 스틸컷 | 출처: iMBC 연예

백종원의 방송 복귀도 관심사입니다. 다수 매체는 그가 5월 활동 중단 이후 약 6개월 만에 현장으로 돌아와 기후·연구기지에 건네는 위로의 식사에 참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연합뉴스TV·헤럴드경제·머니투데이.

“남극기지 월동대원들에게 한 끼를 대접하는 기후환경 프로젝트”
— 관련 보도 요지 연합뉴스TV·머니투데이

일각의 시선과 논란을 둘러싼 보도도 있었으나, 프로그램은 현장 대원 후생과 극지 환경 메시지에 초점을 맞춘 구성으로 의미 있는 순항을 노린다고 전해졌습니다 더팩트·다음뉴스.


‘남극의 셰프’가 주목받는 지점은 요리·과학·환경의 교차입니다. 극지는 수분 보존·열량 밀도·미생물 관리가 관건이어서, 저온·저압·건조 조건에 맞춘 조리법과 저장법이 필요합니다.

보급 주기가 길고 변수가 커 동결건조 식품·레토르트·냉동을 혼합 운용하는 사례가 일반적입니다. 예능 포맷이지만, 현장 조달성과 위험관리를 어떻게 설계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예고편은 구체 메뉴를 크게 드러내지 않지만, 팀은 현지 조리 가능 장비기지 안전 규정을 준수하며 따뜻한 한 끼를 완성하는 과정을 보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남극의 메뉴는?” STUDIO X+U 예고 문구

시청 포인트는 네 가지로 요약됩니다. ① 극지 이동 동선과 날씨 변수 대응, ② 한정된 연료·수자원 속 조리 설계, ③ 팀워크·멘털 케어로 연결되는 식사의 힘, ④ 과학기지의 일상을 비추는 리얼리티입니다.

시청 방법은 MBC 지상파 본방U+tv·U+모바일tv 선공개가 핵심입니다. 편성 및 VOD는 MBC 편성표와 각 플랫폼 공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편성은 방송사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보도 이미지
이미지: 연합뉴스TV 제공 | 출처: 연합뉴스TV

또한 SNS에서는 #남극의셰프, #ChefOfAntarctica, #SUHO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티저 클립이 공유되며 관심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X(트위터) 게시물 📣.

제작진은 과거 MBC 다큐 시리즈 ‘지구의 눈물’—‘남극의 눈물’ 이후 13년 만에 다시 남극을 조명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양성과 예능성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포맷이 차별점으로 평가됩니다 더팩트·다음뉴스.

경향신문 보도 이미지
이미지: 경향신문 DB | 출처: 경향신문

결국 ‘남극의 셰프’는 혹독한 환경 속에서 음식이 지닌 회복력공감의 언어를 탐구하는 시도입니다. 오늘 첫 방송은 극지의 현실을 넘어, 우리가 일상에서 놓친 한 끼의 의미를 환기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