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하루 만에 40배 가까이 뛴 OCTO 주식…무슨 일이 있었나?

미국 나스닥 상장사 Eightco Holdings가 발행한 OCTO 주식이 8일(현지시간) 장중 한때 전일 대비 3,800% 넘게 폭등했습니다. 투자자 커뮤니티와 주요 외신은 “올해 뉴욕 증시 최대 이변”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 급등 배경: 2억 5,000만 달러 규모 프라이빗 플레이스먼트

회사는 월드코인(WLD)을 기업 재무 전략에 편입하기 위해 총 2억 7,000만 달러를 조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는 2억 5,000만 달러 규모 사모 자금과 채굴 기업 BitMine2,000만 달러 전략적 투자가 포함됐습니다.

“AI 시대 증명 가능 신원이 중요해지는 만큼, 월드코인은 차세대 결제·신원 인증 플랫폼이 될 것” — Dan Ives 신임 이사회 의장

월가 대표 기술 애널리스트 Dan Ives가 이사회 의장으로 합류한다는 소식 역시 주가 랠리에 불을 붙였습니다. Ives 의장은 애플·테슬라 분석으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 월드코인이란? 왜 주목받나

오픈AI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이 공동 창립한 암호화폐로, 사람의 홍채를 스캔해 ‘인간 인증’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Eightco Holdings는 세계 최초로 월드코인을 기업 금고에 장기 보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전략을 계승한 확장판”으로 평가합니다. 실제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보유 발표 이후 폭발적 주가 상승을 경험했습니다.


🏦 자금 조달 구조와 희석 위험

Eightco Holdings는 주당 1.46달러에 171,232,876주를 발행할 예정입니다. 발행가 대비 주가는 한때 60달러를 돌파해, 기가급 희석 우려에도 투자 열기가 식지 않았습니다.

시장조사업체 Koyfin에 따르면 “사모 자금은 락업(매각 제한) 조건이 길고, 발행 후 90일 간 추가 매각이 불가능”해 단기 매도 압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폭등 차트를 한눈에

OCTO 주가 차트
이미지 출처: Yahoo Finance

Eightco Holdings 본사
이미지 출처: Investing.com


🗣️ 투자자 반응과 SNS 열풍

투자 커뮤니티 StockTwits에는 “#OCTOto100” 해시태그가 실시간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한 이용자는 “GME·AMC 사태를 떠올리게 한다”는 글을 올려 화제를 모았습니다.

그러나 일부 애널리스트는 “기업 본업인 SaaS 매출이 미미하다”며 펀더멘털 대비 과열을 경고했습니다.


📊 재무 지표 점검

나스닥 자료에 따르면 작년 Eightco Holdings의 연간 매출은 3,200만 달러, 순손실은 5,700만 달러였습니다. PER·PBR 지표는 급등 당일 의미가 희석돼 재무 분석이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다만 월드코인 편입이 현실화될 경우, 가상자산 평가손익이 실적에 직접 반영돼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티커 변경 예고: OCTO → ORBS

회사 측은 9월 11일 이후 티커를 ORBS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이는 ‘Orb’ 장치로 홍채를 스캔한다는 월드코인 콘셉트를 반영한 것입니다.

티커 변경은 개장 전·후 시간 외 거래에서 또 다른 변동성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 리스크 체크리스트

  • 📉 대규모 주식 발행에 따른 희석
  • ⚖️ 암호화폐 규제 리스크 (SEC·CFTC 감독)
  • 🤖 AI 신원 인증 상용화 지연 가능성
  • 💰 월드코인 가격 급락 시 대규모 평가손

🔮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자금 납입 완료일과 월드코인 매수 타이밍이 주가 방향성을 결정할 변수입니다. 둘째, Dan Ives가 제시할 AI·블록체인 시너지 청사진이 시장 신뢰를 좌우할 전망입니다.

마지막으로, 기관투자자 수급이 유입되면 메멘텀 트레이딩에서 중장기 가치 투자로 무게추가 이동할 수 있습니다.


✍️ 기자 노트

이번 OCTO 주식 급등은 월드코인이라는 신흥 자산이 기존 주식시장과 만날 때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밸류에이션’ 실험으로 해석됩니다. 투자자들은 ‘기대’와 ‘변동성’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