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전치사 on 영어 학습자가 가장 먼저 마주치는 기본 어휘입니다. 그러나 쓰임이 워낙 넓어 정확한 on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않으면 실전에서 막히기 쉽습니다.


1) 핵심 개념 – ‘접촉·표면·기반’입니다. on은 사물이 표면에 닿아 있거나, 어떤 활동이 특정 기반 위에서 진행될 때 사용됩니다.

예) The book is on the table. 📚


2) 위치 표현에서는 ‘위에 있으면서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강조합니다. ‘in’은 내부, ‘at’은 특정 지점을 가리키므로 혼동을 주의해야 합니다.

on keyboard 이미지이미지: Pixabay


3) 상태 표현에서는 전자기기의 ‘전원’을 뜻합니다. Turn on the light 💡처럼 동작 여부를 설명합니다.

반대로 off와 짝을 이뤄 ‘켜다/끄다’ 대비를 이룹니다.


4) 시간 표현에서는 ‘특정 날짜·요일’과 함께 쓰이며, on Monday, on 9 October 형식으로 고정됩니다. 🎯

TIP: on + 요일/날짜, in + 월/연도, at + 시각 순으로 외우면 편리합니다.


5) 관용표현·콜로케이션 역시 중요합니다. on purpose(일부러), on foot(도보로), on the phone(통화 중)처럼 암기해야 자연스럽습니다.☎️

on the phone이미지: Pixabay


6) 동사와 결합한 Phrasal Verb도 빠질 수 없습니다. carry on(계속하다), log on(로그인하다), hold on(기다리다)처럼 동사 의미를 크게 바꿉니다.


7) 비즈니스·공식 문서에서는 on behalf of(~을 대표하여), report on(~에 관해 보고하다) 구조가 자주 등장해 전치사 on 용법 숙지가 필수입니다.


8) 온라인 시대의 ‘on’은 디지털 공간을 지칭합니다. on the Internet, on YouTube, on SNS처럼 가상 환경도 하나의 ‘표면’으로 다루는 셈입니다. 🌐


9) 시험 대비 전략입니다. 수능·TOEIC·IELTS 모두 on 의미 구별 문제를 단골로 출제하니, 빈칸완성·문법오류 찾기 유형을 집중 연습합니다.

on 공부이미지: Pixabay


10) 학습 팁으로는 Collocation Notebook 작성이 효과적입니다. ‘on + 명사’ 조합을 발견할 때마다 메모하면 체계적 복습이 가능합니다.


11) 자주 틀리는 예도 짚어 보겠습니다. ‘I saw it on TV’가 맞고, ‘in TV’는 틀립니다. 반면 영화관이라는 물리적 공간은 ‘in the theater’가 옳습니다.


12) 문화·미디어 표현으로 확장하면 ‘on air’(방송 중), ‘on stage’(무대 위)처럼 예술 분야에서도 on 전치사가 두드러집니다. 🎤


13) 인용구로 마무리합니다.

“Language is the roadmap of a culture; it tells you where its people come from and where they are going on.” – 리타 메이 브라운


✅ 결론 – 전치사 on은 ‘표면·기준·접촉’이라는 단 하나의 중심 이미지를 떠올리면 복잡한 용법도 명쾌해집니다. 오늘부터 예문 속 on을 의식적으로 분석하며 표현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