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롤드컵 2025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T1 경기 완전 분석 ⚡

e스포츠 팬이라면 누구나 기다렸던 T1 경기가 16일 저녁 6시 베이징 스마트 e스포츠 센터에서 펼쳐졌습니다. LCK의 자존심 T1은 LCP 1시드 CTBC 플라잉 오이스터(CFO)와 맞붙어 숨 막히는 혈전을 벌였습니다.


1. 전날 ‘IG 3:1 격파’로 확인한 T1의 저력

T1은 플레이-인 최종전에서 IG를 3:1로 제압하며 스위스 스테이지 티켓을 거머쥐었습니다. 14일 밤 치러진 이 승부에서 ‘페이커’ 이상혁은 르블랑으로 기민한 로밍을 선보였고, ‘도란’ 최현준의 오른이 교전을 지휘했습니다.

“T1 경기가 확실히 쫄깃하다” — 인벤 (2025-10-14)

해당 승리 덕분에 T1은 ‘단두대 매치’ 압박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준비 시간을 확보했습니다.


2. 스위스 2R 핵심 밴픽 이슈

양 팀 코칭스태프는 1픽권을 잡은 CFO가 제리·라칸 조합을 선점할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T1은 이를 의식해 바드·세나 같은 변칙 카드를 준비했습니다. 실제로 케리아는 바드로 맵 전역을 누비며 입체적 플레이를 시도했지만, ‘굴리’ 샹정신의 비에고가 오브젝트 싸움에서 우위를 점했습니다.

T1 vs IG 경기 장면

▲ 사진 제공: 인벤, 재배포 금지


3. 라인별 상세 리포트

탑 라인 — 도란의 그라가스는 초반 라인 주도권을 얻었으나, CFO ‘REST’의 케넨이 한타에서 궁각을 완벽히 잡았습니다.
정글 — 오너의 녹턴은 6레벨 이후 협곡의 전령을 노렸으나, CFO가 시야 장악으로 힘을 뺐습니다.
미드 — 페이커의 아지르 vs ‘Mission’의 사일러스. 궁극기 스틸로 변수 창출이 갈렸습니다.
봇 듀오 — 구마유시·케리아는 ‘ShunnㆍShiauC’ 듀오와 화력전에 돌입했지만, 후반 제리 3코어 타이밍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4. 관전 포인트 ✍️

오브젝트 스틸: CFO 원딜 ‘Shunn’이 장로 드래곤을 스틸하며 경기 양상을 뒤집었습니다.
한타 포메이션: T1은 1-3-1 운영을 노렸지만, 후반 전투 집중력이 아쉬웠습니다.
멘탈 관리: 페이커는 “패배는 성장의 자양분”이라 언급, 다음 라운드 각오를 다졌습니다.

T1 vs CFO 매치 포스터

▲ 이미지 출처: Threads @t1fan_good


5. 왜 T1 경기가 ‘뷰어십 흥행 카드’인지?

크로스 플랫폼 시청 데이터에 따르면, T1이 출전한 MSI·월즈 경기는 평균 동시 접속자 18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LCK 평균 대비 +65% 높은 수치입니다. 페이커라는 상징성과 LCK 팬덤의 응집력이 주효한 결과입니다.


6. 향후 일정 및 시나리오

• 3R 매치업은 1승1패 팀끼리 추첨됩니다.
• T1이 3승을 먼저 달성하면 8강 토너먼트 직행, 3패 시 탈락.
• 상대 후보: TES, KT Rolster, Vivo Keyd 등.


7. 시청 가이드 📺

공식 중계: LoL Esports, 네이버 e스포츠, LCK 유튜브.
다시보기: 경기 종료 1시간 내 VOD 업로드.
다국어 해설: 영어·중국어·스페인어 지원.


8. 팬 커뮤니티 반응

클리앙·디시인사이드·레딧에는 “원딜 스마이트까지 대비해야 하나”라는 의견부터 “T1 경기는 늘 새벽을 깨운다”는 후기가 이어졌습니다.


9. 전문가 코멘트

권이슬 LCK 해설위원
“CFO의 초중반 설계가 탁월했습니다. 다만 T1이 밴픽 폭을 넓힌다면 3R에서 충분히 반등할 여지가 있습니다.”


10. 라이브이슈KR 결론

T1 경기는 패했지만, 팀의 장점과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 의미 있는 패배였습니다. 남은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밴픽 다양성·오브젝트 운영을 개선한다면 ‘디펜딩 챔피언’다운 저력을 재증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팬들은 3R 추첨 결과를 주목해야 합니다.

🕔 다음 경기 일정·분석은 라이브이슈KR이 실시간으로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