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 쓰리핏 도전, KT와의 결승 맞대결 핵심 체크포인트 총정리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월즈) 결승전 무대가 중국 청두에서 막이 오르며, T1 쓰리핏 달성을 향한 여정이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T1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결승에 올랐으며, 이번에 우승할 경우 월즈 사상 최초의 3연속 우승(3‑peat, 쓰리핏)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됩니다.
반면 KT는 창단 첫 월즈 우승을 노리며 시즌 후반의 저력을 앞세워 미라클 런을 완성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습니다.
1) 왜 ‘T1 쓰리핏’이 중요한가
쓰리핏은 같은 대회에서 3연속 우승을 의미하며, 롤드컵 역사에서 아직 전례가 없는 금자탑입니다.
T1이 정상에 오를 경우 개인·팀·리그(LCK) 차원의 상징적 기록 갱신과 함께 전 세계 e스포츠 팬덤에 남을 서사를 완성하게 됩니다.
2) 결승 무대의 상징성: ‘통신사 더비’와 LCK의 연속 왕좌
T1과 KT의 결승은 이른바 통신사 더비로 불리며, 라이벌 서사가 경기 외적인 이슈까지 확장하는 상징성을 갖습니다.
두 팀 모두 LCK 소속이기에, 이번 결승 결과와 무관하게 LCK의 연속 우승 기세는 이어집니다1.

3) 최근 흐름: ‘결국 또 여기까지’ T1과 ‘미라클 런’ KT
T1은 4년 연속 결승 무대에 오르며 꾸준함과 적응력을 증명했습니다.
KT는 시즌 중후반부터 완성도를 끌어올리며 토너먼트에서 강한 연승 기세를 보여준 바 있습니다.
4) 밴픽과 메타 포커스
최근 메타는 한타 완성도와 오브젝트 운영이 승부를 가르는 비중이 큽니다.
정글의 초반 동선 설계와 바텀의 화력 타이밍이 맞물릴 때 라인 주도권이 자연스럽게 오브젝트로 연결되는 추세입니다.

5) 라인 매치업 관전 포인트
- 탑: 사이드 캐리와 팀파이트 기여의 균형을 누가 먼저 잡는지가 핵심입니다.
- 정글: 초반 개입 빈도와 오브젝트 타이밍을 누가 먼저 선점하는지 주목됩니다.
- 미드: 주도권-로밍-시야 연계로 전장 설계를 주도하는 쪽이 흔들린 흐름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 바텀: 대규모 한타의 마침표를 찍는 포지션이기에 AD 캐리의 포지셔닝과 서포터의 이니시에이팅 각이 승패를 좌우합니다.
T1은 구마유시–케리아 듀오의 교전 완성도가 강점으로 꼽히며, KT는 중·정글 축의 운영 안정성이 호평을 받아왔습니다팀 컨디션에 따라 변동 가능.
6) 전략 키워드: ‘작은 이득의 누적’과 ‘대형 오브젝트 설계’
라인전에서의 CS·철거 골드·포탑 방패 같은 미세 우위를 축적하는 팀이 중후반 바론·드래곤 교전에서 선택지를 넓힙니다.
특히 세 번째 드래곤 전후 체급 차를 만든 팀은 맵 주도권과 시야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쉽습니다.

7) 변수 관리: 멘탈, 첫 셋, 그리고 ‘스노우볼’
결승 무대에서 첫 세트는 심리와 정보전 측면에서 매우 큽니다.
초반 미스가 스노우볼로 번지는 것을 억제하는 리스크 관리가 시리즈 전체 흐름을 가를 수 있습니다.
8) 페이커를 중심으로 본 T1의 경험치와 상징성
페이커의 결승전 경험은 콜의 무게와 팀 전체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입니다.
경험치가 높은 팀은 위기 구간에서 템포 조절과 리셋 판단이 빠르다는 점에서 강점을 가집니다.

9) 팬덤의 열기와 현장 분위기
청두 현지 경기장에는 양 팀 팬들이 일찍부터 모이며 응원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SNS에서는 “T1 쓰리핏 해줘”와 같은 응원 문구가 확산되며 결승 열기를 더하고 있습니다.
10) 시청 체크리스트
- 공식 채널: 라이엇 공식 채널(YouTube, Twitch 등)에서 다국어 생중계가 제공됩니다.
- 관전 포인트: 1세트 밴픽 의도, 정글 초반 동선, 세 번째 드래곤 교전, 바텀 화력 타이밍, 시야 장악률을 집중 체크하면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결승전은 단일 장면보다 흐름의 전환을 읽을 때 더 많은 것이 보입니다.
11) 이번 결승이 남길 의미
T1이 우승한다면 월즈 사상 첫 쓰리핏과 함께 통산 우승 기록을 또 한 번 경신합니다.
KT가 정상에 오르면 창단 첫 월즈 우승이라는 새 역사를 쓰며 라이벌 구도를 새롭게 씁니다.
12) 정리: ‘T1 쓰리핏’의 문턱, 해답은 기본기와 집중력
이번 결승은 기본기·집중력·위기관리가 총체적으로 맞물리는 팀이 미세한 차이를 승리로 바꾸는 무대입니다.
T1 쓰리핏 달성 여부는 결국 밴픽의 설계와 오브젝트 앞 판단, 그리고 바텀 한타의 마무리에서 갈릴 가능성이 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