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남 유흥가를 뒤흔든 ‘강남패치’ 사건이 벌써 9년 전 일입니다. 그러나 무차별 신상폭로라는 악몽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 SBS ‘그것이 알고 싶다’ 방송 화면 / 출처: 뉴스1
2016년, 인스타그램 계정 ‘강남패치’는 유흥업소 종사자·재벌 3세·연예인 등에게 근거 없는 루머를 덧씌워 하루 조회수 수백만 회를 기록했습니다. 허위 사실 유포와 명예훼손이 이어졌고, 운영자는 결국 구속됐습니다.
하지만 2025년 10월, ‘강남주’라는 새로운 이름이 다시 떠올랐습니다.
“강남패치의 부활인가?”
라는 의문이 일자 SBS ‘그것이 알고 싶다’가 정밀 추적에 나섰습니다.
제작진에 따르면 ‘강남주’는 수백 명의 개인정보를 올린 뒤 삭제 대가로 금품을 요구했습니다. 이는 형법상 공갈·협박§350은 물론, 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까지 번질 수 있는 중대 범죄입니다.
피해자들은 “하루 500만 뷰가 찍혔다”며 극심한 공포를 호소했습니다. 특히 일반인 피해자가 급증했다는 점이 디지털 폭력의 양상을 바꾼 결정적 지점이었습니다.
왜 다시 ‘패치 문화’가 고개를 들었을까요?
① 확증 편향이 SNS 알고리즘을 타고 확산되며 자극적 콘텐츠가 더 많은 노출을 받았습니다.
② ‘셀프 정의구현’ 심리가 대중의 분노를 결집시켰습니다.
③ 온라인 익명성이 사적 보복을 부추겼습니다.
강남대학교 사회학과 이지은 교수는 “실명 확인제가 없는 한 디지털 군중심리는 반복된다”며 플랫폼 차원의 AI 필터링 강화를 제안했습니다.
법조계도 입장을 냈습니다. 김도헌 변호사는 “허위사실 게시자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정보통신망법 70조에 처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일반 사용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 1) 개인 정보 최소 공개
프로필·사진 GPS 메타데이터를 지우면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2) 캡처·로그 보존
명예훼손 소송은 입증 책임이 중요합니다. 게시물 삭제 전 증거를 확보하세요.
🔑 3) 사이버범죄 e-신고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즉시 신고하면 초기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 4) 심리 상담 연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전화 02-735-8994) 등과 연결해 트라우마 케어를 받으세요.
플랫폼의 책임도 무겁습니다.
메타·X(舊 트위터) 등 글로벌 기업은 딥러닝 기반 이미지 추적과 24시간 모니터링 인력을 확대했습니다. 한국 정부 역시 온라인 안전법 제정을 예고하며, 내년부터 ‘불법정보 유통 과징금’ 상한을 5%→10%로 상향할 방침입니다.
“익명 뒤에 숨은 디지털 포식자를 막으려면, 기술·법·교육이 삼각 편대를 이뤄야 합니다.” – 한동훈 법무부 장관
전문가들은 특히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 ‘패치 문화’ 소비 자체를 줄이는 것이 근본 대책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끝으로, ‘강남패치’ 사건은 과거형이지만 교훈은 현재진행형입니다. 한 번 퍼진 디지털 흔적은 영구적이며, 클릭 한 번이 타인의 삶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타인의 이름 앞에 ‘패치’라는 낙인을 찍기 전에, 사실 확인과 법적 책임을 떠올리는 사회적 자성이 절실합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온라인 인권 이슈를 꾸준히 추적해 정확하고 균형 잡힌 보도를 이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