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버스 파업이 임박했습니다. 노조와 사측은 9월 30일 오후 4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최종 조정회의를 진행하며, 협의가 결렬될 경우 10월 1일 첫차부터 전면 운행 중단이 예고돼 있습니다.
🚍 파업 규모는 50개 업체·약 1만 대에 달해 전체 시내·외 노선의 80%가 멈출 가능성이 큽니다. 주로 광역·시내버스가 포함되며, 마을버스는 대부분 정상 운행됩니다.
▲ 사진=연합뉴스 제공
노조 측은 서울시 수준 임금 인상, 통상임금 확대, 1일 2교대제 정착 등을 요구합니다. 반면 사용자 단체는 운수 수익 악화와 탄력근로제 유지를 주장하며 팽팽히 맞서는 형국입니다.
“시급 1,000원 인상만으로는 생활안정이 어렵다. 서울-경기의 임금 격차를 더는 묵과할 수 없다.” —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 관계자
경기도는 ⚠️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해 전세버스·관용버스 800여 대를 대체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출·퇴근 집중배차, 철도 연계환승 확대, 택시 부제 해제 등도 마련돼 있습니다.
▲ 용인시 비상수송대책 발표 현장 (사진=용인특례시)
용인·성남·고양 등 30여 지자체도 ‘시민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전세버스·셔틀버스를 긴급 확보했습니다. 고양시는 350여 대 시내버스가 멈출 경우 M버스·지하철 3호선·GTX-A 환승 유도를 강조합니다.
전문가들은 모바일 교통 정보 앱과 경기도 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를 수시로 확인해 실시간 우회 노선을 찾아볼 것을 권고합니다. 또한 회사·학교와 사전 협의해 출근·등교 시간을 조정하는 대비가 필요합니다.
▲ 경기도청 교통대책 회의 모습 (사진=경기도청)
사측은 국·도비 지원 확대 없이 임금 인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8월부터 이어진 4차례 실무협상에서도 수익구조 개선안을 놓고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만약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통근·통학 공백이 불가피합니다. 경부·영동·서해안 고속도로 광역버스와 M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직장인은 철도·KTX 환승이나 카풀 매칭 서비스를 검토해야 합니다.
반대로 4·6·7·8호선 연계 지역은 상대적으로 대체교통망이 풍부해 피해가 적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경기도는 경기순환버스의 간격을 축소하고 심야 운행 연장을 검토 중입니다.
🗂️ 체크리스트
① 파업 여부 최종 발표 확인: 9월 30일 18시 이후
② 출·퇴근 시간 조정 및 재택근무 문의
③ 철도·전세버스 대체 노선 사전 파악
④ 교통카드 잔액·환승할인 조건 점검
⑤ 카셰어링·택시 호출 피크 시간대 요금 변동 대비
교통 전문가들은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도시철도 혼잡률이 150%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진단합니다. 따라서 사전승차권 예약 서비스와 모바일 좌석 예약제를 적극 활용하라고 조언합니다.
노조·사측 모두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파업이 철회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경기도 관계자는 “타결 시 즉시 정상 운행이 이뤄지도록 업체와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기도 버스 파업은 단순한 노사 갈등을 넘어 대중교통 서비스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사건입니다. 근본적 해법은 지방정부 재정지원 확대, 탄력 근무제 개선, 운송수요 예측 기반 운행 최적화 등으로 모아지고 있습니다.
⚖️ 이번 협상의 결과에 따라 광역교통망 개선 정책과 준공영제 확대 여부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전망입니다. 시민들은 최종 협상 결과 발표까지 비상 교통 계획을 점검하며 대비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안전망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