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국회·언론을 잇따라 오가며 디지털 금융 혁신과 세제 개편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1. 동남아 겨냥 ‘원화 스테이블코인’ 구상
구 부총리는 “베트남·필리핀 등지에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수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교역·송금 비용 절감과 동시에 원화 국제화를 가속할 열쇠로 평가됩니다.
ⓒ조선일보
블록체인 업계는 “국경 간 결제 혁신이 현실화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다만 자본유출·환투기 리스크를 막기 위한 거버넌스·준칙 마련이 관건입니다.
2.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50억 유지냐 10억 인하냐
같은 날 구윤철 부총리는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심사숙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투자 심리와 조세 형평을 모두 고려해 이달 내 최종 방안을 결정하겠습니다.” — 구윤철 부총리
현재 정부는 ① 현행 50억 유지, ② 10억으로 하향 두 시나리오를 놓고 막판 조율 중입니다. 개미투자자는 ‘50억 유지’를, 재정당국은 ‘10억 하향’을 선호한다는 해석이 힘을 얻습니다.
만약 10억으로 내려갈 경우 약 1만 2천 명이 새로 과세 대상에 포함돼 연 1조원가량 세수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3. ‘지출구조조정’과 국채 발행 최소화 전략
구 부총리는 “재원을 국채에만 의존할 수 없다”며 역대급 지출 구조조정 계획도 공개했습니다. 2026년 예산안에서 불용·중복 사업 18조원을 정비, 신성장 R&D에 재투입할 방침입니다.
그는 또 “성장을 통한 세수 확장은 무조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법인세 결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첨단 제조 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고, 비과세·감면 항목은 단계적으로 재편할 계획입니다.
ⓒ경향신문
4. 시장·정치권 반응
여당은 “재정건전성과 혁신을 동시에 잡는 해법”이라며 호평했지만, 야당은 “증세 없는 복지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거듭 지적했습니다.
코스피·코스닥은 양도세 변수에 따라 장중 등락을 보였습니다. 특히 중소형 성장주가 전일 대비 2% 가까이 흔들리며 정치 리스크를 반영했습니다.
5. 글로벌 리스크와 한국경제 과제
美 관세 인상·中 부동산 침체가 겹친 상황에서, 정부가 제시한 ‘투자 확대→세수 확대’ 방정식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전문가들은 “구윤철 부총리의 스테이블코인·세제·재정 패키지가 정교한 로드맵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 라이브이슈KR은 향후 발표될 최종 세제 개편안과 디지털 자산 가이드라인을 지속 추적, 독자 여러분께 심층 분석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