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전산망 장애가 장기화하면서 행정안전부 안팎의 비상등이 다시 켜졌습니다.
이미지 출처 : YTN 유튜브 화면 갈무리
지난 9월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전산망 장애로 직결됐습니다. 화재 원점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구획이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이면서 주요 서버 랙이 가동을 멈췄습니다.
이날 이후 주민등록·세무·관세·복지 시스템 등 14개 핵심 행정 서비스가 잇따라 멈추며 ‘디지털 정부’의 취약성이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 무엇보다 충격적인 소식은 복구 총괄을 맡았던 50대 공무원이 3일 세종청사에서 투신해 숨졌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업무 압박과 직접 연관성은 조사가 필요하다”면서도, 심리 지원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습니다.
“전산망이 멈추면 행정은 멈춥니다. 사람도 시스템도 견딜 만한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 정부 관계자
📊 국가전산망은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1만5천여 노드가 연결된 초대형 인프라입니다. 이중화, 삼중화 설계를 했음에도 한곳의 데이터센터 화재가 곧바로 전국적 장애로 확산됐다는 점이 논란의 핵심입니다.
전문가들은 “핵심 장비의 공간·전원 이중화를 넘어 지역 분산 클라우드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미국·싱가포르는 공공데이터를 3개 권역 이상에 실시간 복제(replication)하고 있습니다.
📌 행안부는 장애 발생 일주일 만에 복구율 18.7%를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대민 서비스 체감은 낮았습니다. 주민센터 무인민원 발급기 상당수가 먹통이었고, 일부 세관 통관은 수기로 진행됐습니다.
🔍 복구 지연 배경에는 ‘노후 장비’ 문제가 자리합니다. 10년 이상 사용한 스토리지와 UPS 교체 시기가 미뤄졌다는 내부 감사 결과가 드러났습니다.
또 다른 변수는 ‘보안 규정’입니다. 국가전산망은 물리적 망 분리 탓에 외부 클라우드 이전이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다수 부처가 ‘하이브리드 존’ 신설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 내년부터 추진될 ‘공공 클라우드 2.0’ 전략에는 AI 기반 장애 예측, 자동화 복구(ATO) 등이 포함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2027년까지 주요 업무 70%를 멀티존으로 이전”한다는 로드맵을 내놨습니다.
👥 한편, IT 업계는 이번 사태를 ‘사이버 레질리언스’를 강화할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인프라뿐 아니라 인력 지원 체계가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마지막으로, 국가전산망 장애가 남긴 숙제는 단순 복구가 아닙니다. 재난 대응 표준 재정비와 심리적 안전망 확보까지 포함하는 ‘사람 중심 디지털 안전’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