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에서 26일 저녁 발생한 화재 사고가 정부 온라인 서비스를 한때 ‘올스톱’시키면서 디지털 행정의 취약 지점이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8시 15분께 무정전 전원장치실(UPS) 리튬 배터리에서 발화가 감지됐다고 밝혔습니다. 초기 진화에 30여 분이 소요됐지만, 검은 연기가 서버실 내부로 유입되며 전산 장비가 자동으로 셧다운됐습니다.
행안부 관계자는 “안전을 위해 전력 공급을 차단했고, 이로 인해 70개 정부 전자 시스템이 동시에 중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조선일보 ⓒ Chosun.com
모바일 신분증, 정부24, 국민신문고, 전자관세, 관세환급 시스템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가 최대 3시간가량 접속 장애를 겪었습니다. 밤늦게까지 복구가 진행됐지만, 일부 지자체 업무포털은 27일 새벽까지도 정상화가 지연됐습니다.
특히 공공마이데이터와 디지털 운전면허증처럼 ▲보안 ▲개인정보 ▲실시간 인증이 핵심인 서비스가 동시에 중단되며 “클라우드 이중화가 과연 충분했는가”라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IT 업계에서는 이번 사고를 두고 “전통적 백업 센터만으로는 재난 복원력 확보가 어렵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최근 민간 기업들은 지역·전원·클라우드 3중(三重) 백업을 통한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구성을 표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중앙일보 ⓒ JoongAng
전문가들은 “리튬 배터리 화재는 산소 차단만으로 진화가 어렵다”며, 전해액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세라믹 분리막 적용과 전용 ‘클린 에이전트 소화시스템’ 도입을 제안합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 역시 데이터센터의 전력실·배터리실 분리 기준을 2026년부터 강화합니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350억 원 규모의 ‘초분산 백업센터’ 구축 사업비를 반영했습니다.
이번 화재 사고는 동시에 일어나는 연쇄적 디지털 리스크를 체감케 했습니다. 전산 장애로 주민등록등본 발급이 불가해 지자체 민원창구가 혼잡을 빚었고, 온라인 통관 절차가 중단되면서 항만에서 대기 중인 수입 화물 지연료가 3억 원가량 발생했습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사이버 보험 보상 범위에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업무중단 손실’을 명확히 기재해 달라는 공공기관 문의가 크게 늘었다”고 전했습니다.
정부세종청사 안전총괄과는 27일부터 전 부처를 대상으로 ‘화재 대응 매뉴얼 일제점검’에 착수합니다. 특히 IT 인프라 부서는 ▲비상 발전기 격벽 설치 ▲CMS 기반 화재 수신기 점검 ▲지진·진동 센서 연계 소화 시스템 연동 여부를 중점적으로 확인합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정재 의원은 “행안부가 주관하는 국가 재난대응 체계가 ‘클라우드 전환율 100%’ 달성 전에 먼저 안정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정보보호 전문가인 안용호 단국대 교수는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설계만큼이나 물리적 보안과 전원 안정성이 중요하다”며 “전산실 내 배터리셀 분리·소화 테스트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대전 화재는 ‘디지털 정부’가 곧 국가 기간망이라는 사실을 웅변했습니다. 빠른 복구로 피해는 최소화됐지만, 한 번의 정전이 행정·금융·물류·산업 전반에 미칠 수 있는 도미노 효과를 확인한 만큼, ▲전국 거점 분산센터 구축 ▲AI 기반 예측정비(PdM) ▲고효율 냉각 설비 투자 등 근본적 체질 개선이 시급합니다.
행안부는 28일 새벽 1시 기준, 70개 서비스 중 68개 복구를 마쳤으며 나머지 2개 시스템도 오전 중 정상화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무결성 검증에 최소 48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화재가 남긴 과제는 적지 않아 보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화재 안전·정보보호·디지털 전환 이슈를 면밀히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신뢰할 수 있는 심층 기사로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