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정원(국가정보원)이 조직 개편과 대테러 전략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하며 변신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올해 초 단행된 개편에서 사이버안보센터와 대테러센터가 별도 본부로 승격됐습니다. 이는 복잡·다변화한 위협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입니다.
국정원 내부 관계자는 “정보·분석·작전을 삼각 축으로 한 입체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별 모양 나침반은 국가의 번영과 미래를 제시한다”1
새 CI를 통해 ‘밤하늘의 별’처럼 방향을 제시하겠다는 비전도 공개됐습니다.
이미지 출처: KCG 홈페이지
글로벌 정보기관들이 사이버 전장을 확장하는 가운데 국정원 역시 AI 기반 보안관제를 도입해 실시간 위협을 탐지·차단합니다.
특히 랜섬웨어와 국가 배후 해킹조직에 대한 빅데이터 추적 시스템을 24시간 가동 중입니다.
대북 정보 수집 역량도 강화됐습니다. 위성·SIGNIT·OSINT 데이터를 통합해 딥러닝 분석으로 전환했고, 동맹 정보기관과의 페타바이트급 데이터 공유 절차를 표준화했습니다.
국정원은 “단순 첩보 수집에서 나아가 위기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확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과거 정치 개입 논란을 교훈 삼아 ‘정치 관여 금지’ 조항을 내부 행동강령에 명문화했습니다.
또한 국정감사와 정보위 보고를 통해 민간 통제를 제도화해 투명성을 확보합니다.
이미지 출처: 나무위키
💡 채용 시장도 달라졌습니다. 국정원은 AI·블록체인·언어학 등 첨단·융합 전공 인력을 대규모로 공개 채용하며 “창의적 해커 마인드”를 중시합니다.
국가 사이버안전법(가칭)이 국회를 통과하면 민관 합동 협력을 통해 위협 정보가 실시간 교류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국정원이 CIA·MI6와 같은 범정부 거버넌스를 지향한다”며 “전략 문화까지 바꾸려는 시도가 주목된다”고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제기하며, 국정원은 ‘4중 암호화’와 ‘실명 접속 기록 분리 보관’으로 불신을 해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독자 체크리스트
① 해외여행 시 테러 경보 단계 확인하기
② 사이버 공격 의심 메일 신고 시 ‘118’ 활용하기
③ 국정원 국민신고센터(111) 활용으로 국가안보 동참하기
국정원은 이제 클래식 정보기관을 넘어 데이터 기반 위기관리에 특화된 하이브리드 조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정보화 시대, ‘보이지 않는 방패’가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기능할 때 국민 신뢰도 함께 높아질 것입니다.
Copyright ⓒ 라이브이슈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자료 : 국가정보원·행안부·국회 정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