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 국토교통부 최신 정책 동향과 생활 밀착 정보 한눈에 보기


국토교통부가 2025년 국정감사와 동시에 발표한 주거·교통 분야 핵심 과제가 업계와 시민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본 기사는 주택 공급, 전세 안정, 광역교통망, 도시재생까지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주요 정책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국토교통부 공식 이미지
▲ 이미지 출처: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1️⃣ HUG 든든전세주택 700호 입주자 모집

6시간 전 국토교통부가 공고한 HUG 든든전세주택청년·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공공전세형 사업입니다.

계약 기간 동안 시세 80% 이하의 임대료가 보장되며, 보증금 전액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보증합니다.

2️⃣ 전세계약 분쟁 예방 시스템 강화

“전세계약 전 집주인의 부인이 나타났다”—SNS에서 화제가 된 사례처럼 예기치 못한 분쟁을 막기 위해 국토교통부실거래 정보 사전 열람 서비스를 확대했습니다.

특히 2025.1부터는 온라인 전세 사기 신고 창구가 24시간 운영돼, 피해 발생 시 즉시 구제가 가능해집니다.

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RT 추진 현황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B·C 노선은 올해 말까지 공정률 30%를 돌파할 전망입니다.

아울러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 BRT(간선급행버스) 5개 노선을 추가 지정해 “30분 출퇴근권” 실현에 나섭니다.

국회 국토위 국감 현장
▲ 이미지 출처: JTBC 뉴스 캡처

4️⃣ “신길5동 지주택 비리” 후속 대책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고발 공무원 포상에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경찰·국세청과의 공조 수사가 강화될 예정입니다.

5️⃣ 부동산 허위거래 8건, 경찰청·국세청 수사 의뢰

국토교통부“가격 띄우기” 목적의 허위거래를 적발, 관계 기관에 넘겼습니다.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명성을 위해 실거래 신고 후 취소 행위에 대한 과태료도 최대 3000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6️⃣ 도시재생 뉴딜→도시혁신 전략 전환

기존 도시재생 뉴딜의 성과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저탄소 건축을 결합한 도시혁신 전략이 발표됐습니다.

세종·부산·광주 3곳은 2026년까지 스마트그린 특화지구로 지정돼, 에너지 자립률 50%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7️⃣ 범부처 연구개발 시스템(IRIS) 연계

17시간 전 공개된 IRIS 사업공고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UAM(도심항공교통) 분야 R&D 과제를 공동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2030년 UAM 상용화 로드맵이 한층 현실화될 전망입니다.

8️⃣ 건설산업 공정성 강화…하도급 법령 개정

대한건설협회 자료에 따르면, 원도급 대비 하도급 비율 상한을 명확히 하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이 입법예고 중입니다.

업계는 “적정 공사비 확보안전 품질을 동시에 잡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합니다.

9️⃣ 온라인 고시정보·입찰공고 통합 제공

토지이음·K-apt 등 포털이 국토교통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돼, 토지이용계획, 입찰 공고, 고시문을 실시간 열람할 수 있습니다.

  • 토지이음: 도시계획·규제법령 검색
  • K-apt: 아파트 관리·입찰 정보 공개

🔟 2026년까지 달라지는 생활 제도 요약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핵심 변화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분야 시행 시점 주요 내용
전세 사기 방지 2025.1 24시간 온라인 신고·구제
GTX A·B·C 2027~2028 순차 개통, 서울~수도권 30분 생활권
UAM 상용화 2030 김포·인천·김해 공항 노선 우선

📌 결론 및 전망

종합해보면, 국토교통부주거 안정교통 혁신을 양대 축으로 2025년 정책 로드맵을 구체화했습니다.

전세 시장 안정 장치, 광역교통망 확충, 도시혁신 전략이 국민 삶의 질을 높일지 주목됩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국토교통부의 정책 변화를 면밀히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