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국토교통부가 이르면 이번 주 ‘규제지역’ 재지정 방안을 공식화할 전망입니다.

이번 발표는 부동산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지정 범위를 넓혀 과열된 수도권 시장을 조정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서울 아파트 전경

시장에서는 마포‧성동‧분당‧과천 등이 1순위 후보로 거론되며 ‘막차 매수’ 열기가 강해졌습니다.

실제로 일부 중개업소에서는 “규제 전 계약을 서두르라”는 문의가 평소의 두 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 LTV(주택담보인정비율)은 비규제지역 70%에서 규제지역 40%로 즉시 축소됩니다.

취득세 역시 1주택자가 추가 주택을 매입하면 최대 12%까지 중과돼 자금 부담이 커집니다.

반면 무주택 실수요자에게는 생애 최초 구입 대출 한도 및 청약 가점이 유지돼 ‘옥석 가리기’ 전략이 필요합니다.

규제지역 지정은 단순한 ‘투기 억제’가 아니라 시장 안정을 위한 신호탄입니다.” – 김현수 부동산경제연구원장


💰 갭투자를 차단하기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카드도 병행 검토됩니다.

허가구역으로 묶이면 1 전세 끼고 매입하는 ‘전세 레버리지’ 수법이 사실상 불가능해집니다.

개발 호재가 집중된 강남3구는 이미 규제지역이지만, 풍선효과가 번진 외곽 벨트가 추가 지정될 공산이 큽니다.

분양시장도 예외가 아닙니다.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 등 비규제지역 청약단지는 특별공급 경쟁률이 치솟으며 ‘희비 교차’ 양상을 보였습니다.

청약 경쟁 치열

건설업계는 “분양가 상한제(추가 규제)보다 수요 억제가 더 큰 변수”라며 공급 일정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규제지역 발표 이후에는 관망세가 짙어지는 대신, 입주 2년 차 구축 아파트에 실수요 유입이 집중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규제지역 지정으로 투기 수요가 빠져나가면 실수요 중심의 가격 형성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다만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만큼, LTV 축소와 겹쳐 연체 위험이 커질 수 있어 금융 여력 점검이 필수입니다.

정부는 발표 이후 3개월가량 시장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필요 시 추가 대책도 예고했습니다.

🏁 종합하면, ‘규제지역’ 재지정은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기준점을 새로 세우는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구매·투자 계획이 있는 독자라면 지역별 규제 수위, 대출 한도, 세제 변화를 꼼꼼히 살펴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