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아자동차가 2025년 하반기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을 향해 다시 한 번 가속 페달을 밟습니다.
라이브이슈KR 취재 결과, 신형 픽업트럭 ‘Tasman’과 UX 스튜디오 서울 개관, 그리고 전동화 로드맵이 투자자와 소비자의 관심을 동시에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1️⃣ Tasman 출시 임박
기아자동차는 밴드 DAY6와 손잡고 ‘The Kia Tasman X DAY6’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6일간의 티저 영상은 공개 24시간 만에 조회수 150만 회를 돌파했습니다.
이미지 제공: Kia Korea YouTube
Tasman은 3.0ℓ 디젤 엔진과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를 동시 탑재해 동급 최고 4.5톤 견인력을 확보했습니다.
2️⃣ 디자인 & 플랫폼 혁신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 철학이 전면 적용돼 전·후면 모두 스타맵 시그니처 DRL이 들어옵니다. 전용 플랫폼 PBV3 기반으로, 차량 길이 조절이 가능해 상용·레저를 자유롭게 넘나듭니다.
“Tasman은 기아가 꿈꾸는 다목적 모빌리티의 결정체입니다.” – 카림 하비브 디자인총괄
3️⃣ 전동화 포트폴리오 확대
플래그십 EV9, 스포츠 세단 EV6 GT에 이어 2025년 말 EV3가 국내외 동시 출시될 예정입니다. 기아자동차는 2030년까지 연간 160만 대 EV 판매를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4️⃣ UX 스튜디오 서울 개관
현대차·기아는 강남대로 사옥에 UX 스튜디오 서울을 열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체험을 제공했습니다. OTA 업데이트, 크로스 카플레이 플랫폼을 직접 체험할 수 있어 사용자 참여형 개발이 가속되고 있습니다.
5️⃣ 주가 동향
4일 기준 기아 주가는 99,100원으로 전일 대비 1.0% 하락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Tasman 효과와 북미 판매 호조로 목표주가 120,000원을 제시했습니다.
관련 키워드: 기아자동차 주가, EV9 매출, 전동화 전략, 현대모비스 부품 공급.
6️⃣ 리콜·안전 이슈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6월 말 ABS 모듈 결함으로 3,412대의 KA4 카니발이 자발적 리콜에 들어갔습니다. 차량번호 입력으로 간편 조회가 가능하니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7️⃣ 글로벌 생산 전략
미국 조지아 공장은 EV, PBV 전용 라인으로 탈바꿈 중입니다. 유럽 슬로바키아 공장엔 LFP 배터리팩을 적용해 원가 절감을 노립니다.
8️⃣ ESG & 탄소중립
기아는 2045년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울산·화성·광명 공장엔 태양광 100MW 설비를 추가하며, 공급망까지 탄소 배출 모니터링을 확대합니다.
9️⃣ AI·커넥티드 서비스
기아 Connect 2.0은 챗GPT 기반 음성비서를 적용했습니다. 목적지 설정, 차량 진단, 음악 추천을 자연어로 해결합니다.
🔟 소비자 체크리스트
- Tasman 예약: 7월 15일부터 온라인 사전계약 진행입니다.
- 리콜 확인: 자동차리콜센터 → ‘내 차 리콜 조회’ 클릭입니다.
- EV 보조금: 수도권 450만 원, 지방 520만 원 선입니다.
11️⃣ 경쟁사 동향 비교
토요타 하이럭스, 포드 레인저와 비교하면 Tasman은 적재함 길이와 인포테인먼트 UX에서 우위를 점합니다.
12️⃣ 전망 & 결론
종합적으로 기아자동차는 디자인 혁신, EV 라인 확장, 그리고 Tasman이라는 화제성 모델로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는 전동화 수익성과 글로벌 관세 리스크를, 소비자는 리콜 정보와 사후 서비스를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 앞으로도 라이브이슈KR은 기아자동차의 모든 이슈를 신속하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