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김현지 비서관을 둘러싼 여야의 강 대 강 대치가 국회 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격화되고 있습니다.


24일 오후 열린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총무비서관이 14대 국회 이후 빠진 적이 없다”며 김 비서관 증인 채택을 요구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강훈식 비서실장이 출석하는 만큼 충분하다”며 맞섰습니다.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예산·인사를 총괄하는 핵심” –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

반면 민주당 간사단은 “정쟁용 출석 요구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번 논쟁의 배경에는 ‘그림자 실세’라는 수식어가 있습니다. 김 비서관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전부터 행정·정무 업무를 보좌하며 측근 중의 측근으로 평가됐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들도 “정확한 예산·인사 운용을 위해 총무비서관 역할이 막중하다”고 설명합니다.

운영위 회의 현장이미지 출처 : KBS News YouTube

총무비서관은 청와대(현 대통령실) 내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자리입니다. 인사·예산·조직관리 등으로 ‘대통령실의 CFO’라 불리기도 합니다.


여야가 국정감사를 한 달여 앞두고 충돌한 이유는 관례와 정치적 상징성 때문입니다.

관례 논쟁 – 국민의힘은 30여 년간 이어진 출석 전통을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정쟁 프레임 – 민주당은 “총선이 6개월 남았는데 정쟁만 키울 수 없다”며 선을 긋습니다.

증인 채택 공방 기사이미지 출처 : 조선일보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통령실 조직 개편과도 맞물려 있다고 분석합니다. 내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신설 비서관실 예산이 쟁점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국회 예산정책처 관계자는 “총무비서관이 직접 답변해야 예산 심사 투명성이 높아진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적 관심도 높습니다. 포털 실시간 검색어에는 ‘김현지 비서관’, ‘국감’, ‘증인 채택’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불투명한 정보에 대한 국민의 궁금증을 방증합니다.

정치 커뮤니티에서도 “존엄인가?”라는 표현이 회자되며 책임성·투명성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여당 내부에서는 “끝내 출석이 무산될 경우 역풍이 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반대로 야당은 “강제 말미를 주는 셈”이라며 증인 명단 관철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한겨레 기사 이미지이미지 출처 : 한겨레 신문


국정감사 계획서가 이달 말 본회의 의결을 거치면 증인 명단은 최종 확정됩니다.

향후 시나리오는 두 가지입니다. 1️⃣ 여야 합의로 김현지 비서관이 출석하거나, 2️⃣ 증인 채택 없이 비서실장 대리 답변으로 국감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정가 관계자는 “어느 쪽이든 ‘밀실 인사’ ‘깜깜이 예산’ 논란이 재점화될 소지가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 독자가 궁금해할 핵심 Q&A

Q. 총무비서관이 국감에 꼭 나와야 하나요?
A. 예결·인사권을 직접 다루므로 현장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입니다.

Q. 불출석 시 어떤 절차가 있나요?
A. 국회법 127조에 따라 ‘출석 요구서 재송부’ 또는 ‘동행명령’이 가능합니다.

Q. 김현지 비서관은 누구인가요?
A. 행정고시(55회) 출신으로 서울시 정책비서관, 대통령직인수위 파견을 거쳐 초대 총무비서관에 임명됐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국회 결정에 따르겠다”면서도 “업무 공백이 없도록 협의 중”이라는 짤막한 입장만 밝혔습니다.

국정감사 D-7, ‘김현지 비서관’을 둘러싼 여야 힘겨루기가 어떤 결론으로 귀결될지 이목이 집중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