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위키 홍민택 문서가 돌연 빈칸으로 바뀌었습니다. 카카오 CPO 홍민택 씨가 나무위키 운영진에 삭제를 공식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 그는 ‘허위 사실·명예훼손·초상권 침해’1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카카오톡 대개편 논란이 집중 조명되면서 온라인 비판이 거세지자 법적 조치까지 예고했습니다.
사진=동아일보 캡처
⚖️ 정보통신망법 44조의7(임시조치 제도)에 따르면, 당사자는 게시물에 대해 30일간 ‘블라인드’ 조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 건도 같은 절차로 진행됐습니다.
💬 그러나 네티즌들은 “기업 권력이 표현의 자유를 억누른다”라며 반발했습니다.
“대중 비판을 막기 위한 사전 검열로 비칠 수 있다”
는 지적이 잇따랐습니다.
🎵 특히 AI 패러디곡 ‘카톡팝’은 홍민택 CPO를 풍자하며 급속히 퍼졌습니다. 나무위키에는 해당 영상 링크와 가사가 상세히 정리돼 있었으나 현재 접근이 제한돼 있습니다.
IT 업계 전문가 정하나 변호사는 “사적 평판 관리와 공적 비판 수용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5년 ‘카카오톡 대개편’은 UI 변경·광고 탭 확대 등으로 사용자 불만을 샀습니다. 이후 나무위키 홍민택 문서에는 업데이트마다 비판이 추가됐습니다.
🛡️ 카카오는 “허위 내용 확산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기업 이미지 관리”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 과거에도 공인들이 나무위키 게시물 삭제를 시도한 전례가 있습니다. 다만 대다수는 ‘공익성’을 이유로 기각되거나 수정 권고에 그쳤습니다.
🔄 향후 절차는 게시물 원 작성자의 반박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반박이 제기되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사실관계’를 판정하게 됩니다.
💡 콘텐츠 제작자들은 사실 확인·출처 표기를 강화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허위 정보는 법적 위험을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동시에 디지털 평판 관리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업·개인이 온라인 기록을 예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종합하면, 나무위키 홍민택 삭제 요청은 ‘표현의 자유’와 ‘사적 명예 보호’가 맞부딪친 상징적 사례입니다. 최종 결정은 법적·사회적 논의 속에 내려질 전망입니다.
라이브이슈KR 기자 김유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