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tcu_.or_.krhumanframethememoassetsimagescommonicon_foot_mark4.png

📉 나스닥 조정, 의미 있는 신호일까?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 종합지수가 22,208.88포인트로 전장 대비 125.08포인트(-0.56%) 떨어졌습니다.1

지난 3개월간 20% 가까이 급등했던 기술주 중심 지수의 첫 본격적 조정이었습니다.


🚀 기술주 동반 약세, 배경은?

AI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가 모건스탠리 투자의견 하향 여파로 2% 가까이 밀렸습니다.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 등 빅테크 3인방도 0.5~1% 수준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 FOMC 금리 인하 전망이 좌우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첫 인하 가능성을 약 60%로 반영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디스인플레이션 진행 속도” 언급이 나올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지표가 던진 변수

8월 소비자물가 전년 대비 3.7%로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습니다.

특히 주거비·에너지 항목이 상승 압력을 키워 장기 금리를 다시 4.3%대로 끌어올렸습니다.


🔍 투자전략 체크포인트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가 한층 누그러지기 전까지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성장주는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다.” — 씨티리서치

① 단기 관점에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단(4,250p 부근) 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금비중을 10~15%까지 높여 FOMC 전후 저점 매수 여력을 확보합니다.

③ 실적 모멘텀이 강한 클라우드·사이버보안 종목을 분할 매수합니다.


🌐 ETF로 보는 섹터별 흐름

QQQ는 0.7% 하락했지만, AI 테마 ETF BOTZ는 0.3%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로봇·자동화 분야의 구조적 성장 서사가 여전히 유효함을 시사합니다.


📅 이번 주 주요 일정

• 18일(수) FOMC 기준금리 발표
• 19일(목)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 20일(금) 9월 쿼드러플 위칭 만기

파생 만기가 겹치면서 거래대금 급증 및 변동성 확대가 예상됩니다.


🛠️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변동성 지수(VIX) 14→17 구간 돌파 여부
달러인덱스 105선 상향 이탈 시 위험자산 동반 조정 가능

채권 ETF(TLT) 90달러 붕괴 시 장기 금리 급등 리스크


📈 중장기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

골드만삭스는 2026년 나스닥 목표치를 30,000포인트로 상향했습니다.

클라우드·AI·반도체 설비투자 확대가 EPS 성장률 15%+를 견인할 것으로 봤습니다.


🖼️ 현장 스케치

나스닥 타임스퀘어 전광판
▲ 뉴욕 타임스퀘어 나스닥 마켓사이트 전광판 ⓒ Nasdaq Exchange/X

나스닥 지수 차트
▲ 나스닥 종합지수 일봉 차트 ⓒ Yahoo Finance


🔔 결론

나스닥의 단기 흔들림은 과열 해소 과정으로 풀이됩니다.

투자자는 매크로 이벤트에 따른 변동성을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