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통법 폐지가 7월 22일부로 확정되면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사상 최대 격변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은 2014년 10월 도입돼 공시지원금 30만 원 상한과 추가지원금 15% 규제를 통해 “보조금 과열”을 막아왔습니다.
하지만 10년 가까운 시행 동안 통신사 마케팅 편법과 소비자 혼란이 반복됐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장이 성숙했고, 투명한 가격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단통법 폐지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폐지 이후에는 지원금 상한선이 사라져 통신 3사가 보조금을 자율적으로 책정하게 되며, 업체별 가격 전쟁이 예고됩니다.
“지원금 자율화로 소비자는 더 많은 선택지를 확보하지만, 위약금·부가약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한국소비자연맹
ⓒYTN News/YouTube
먼저 공시지원금 제도는 폐지와 동시에 사라집니다. 대신 대리점이 지급하던 리베이트가 합법화되면서 신규 ‘대리점 위약금’이 등장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뉴데일리 단독 보도에 따르면 LG유플러스 일부 대리점은 “최대 150만 원” 리베이트 제공 대신 6개월 내 해지 시 별도 위약금을 부과하는 안을 검토 중입니다.
ⓒNewdaily
따라서 소비자는 계약서에 통신사 약정뿐 아니라 대리점 별도 약정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자급제폰+알뜰폰 조합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보조금이 늘더라도 월 3만 원 이하 요금제를 쓰는 이용자라면 알뜰폰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고가 플래그십 구매 예정자라면 이번 보조금 경쟁이 절호의 기회입니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갤럭시 Z폴드7 150만 원 할인” 등의 실시간 정보가 공유되고 있습니다.
다만 아이폰은 애플이 가격 정책을 엄격히 관리하기 때문에 ‘출혈 경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미디어오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는 “단통법이 폐지되면 단말기 가격 인하→요금 인하 선순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보조금이 늘면 통신사 마케팅 비용이 증가해 요금제 인상으로 전가될 위험”도 지적합니다.
5G SA(Standalone) 상용화, 6G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과 맞물려 신규 요금제 출시도 줄을 잇고 있습니다.
통신사들은 콘텐츠 번들·구독형 요금제를 확대해 평균 데이터 사용량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중고폰·리퍼폰 시장도 들썩입니다. 보조금 경쟁으로 ‘한두 달 쓰고 되팔기’를 노리는 ‘단타족’이 늘며, 공급 과잉→가격 하락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중고 단말기 판매 시점은 폐지 직후보다 2~3개월 뒤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통해 ‘보조금 공시 의무’와 ‘위약금 사전 고지’를 강화하고, AI 기반 불공정 행위 모니터링 시스템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소비자는 단통법 폐지 이후 체크리스트로 ①계약서 원본 보관 ②위약금 조건 확인 ③요금제 변경 가능 시기 숙지 ④리베이트 지급 방식 영수증 확보 ⑤14일 내 청약철회권 활용 등을 기억해야 합니다.
💡 요약: 단통법 폐지는 ‘지원금 상한 해제’라는 기회와 ‘복잡한 위약금’이라는 위험이 공존하는 제도 변화입니다.
최저가 유혹에 앞서 계약조건을 꼼꼼히 따지는 스마트 컨슈머가 되어야 진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