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을 향한 인류의 열망이 다시 한 번 뜨겁습니다. 1969년 아폴로 11호 착륙 이후 50여 년 만에 ‘두 번째 달 시대’가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습니다.


미국 NASA아르테미스 Ⅱ를 통해 2026년 유인 비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NASA 관계자는 “이번 임무는 달 궤도를 돌며 착륙 전 모든 시스템을 점검하는 결정적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달 표면
▲ 사진 출처 | NASA

뒤이어 아르테미스 Ⅲ는 2028년 달 남극 착륙을 목표로 합니다. 물 H2O 자원 탐사를 위해 남극이 선택됐으며, 이는 장기 거주 기술의 기반이 될 전망입니다.


민간 업체도 속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SpaceX스타십 HLS를, 블루오리진은 블루문 착륙선을 개발하며 발사 창을 노리고 있습니다.

“2030년이면 달에 국제 공동 기지가 세워질 것입니다.” – 한국천문연구원 이준형 박사

한국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KPLO(‘다누리’) 궤도선이 지난해 1억 km 여정을 완주하고 촬영한 달 뒷면 영상은 학계의 극찬을 이끌어냈습니다.

다누리는 고해상 카메라·자력계로 물 함량·자연 방사선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 자료는 향후 한국형 달 착륙선(2032년 목표) 설계에 직접 활용됩니다.


천문 애호가에게는 올가을이 놓칠 수 없는 시기입니다. 10월 7일 부분월식, 11월 16일 ‘슈퍼 블루문’이 연달아 찾아옵니다.

스마트폰으로 달을 또렷하게 찍고 싶다면 망원렌즈 어댑터수동 초점 모드를 활용하세요. 셔터 속도를 1/250 초 이상, ISO를 200 이하로 낮추면 노이즈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르테미스 우주복
▲ 사진 출처 | NASA / Axiom Space

달 표면의 헬륨-3티타늄 자원도 화두입니다. 헬륨-3는 차세대 핵융합 연료로 주목받아, 각국이 경쟁적으로 채굴 기술을 연구 중입니다.


아시아 국가들의 행보도 인상적입니다. 인도 ‘찬드라얀-3’ 착륙선은 남극 인근 탐사에 성공했고, 중국 창어 8호는 2028년 건설 3D 프린팅 기술을 시험할 예정입니다.

달 궤도 정거장 ‘게이트웨이’는 국제 ISS 경험을 계승해 2030년 상주 인원을 수용합니다. 여기서 우주인은 화성 임무 전 심우주 방사선 적응 훈련을 하게 됩니다.

최근 K-팝·영화계도 ‘’을 소재로 열풍을 이어갑니다. 그룹 아이브의 신곡 ‘Off The Moon’과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 ‘산양들’이 대표적입니다.

전문가들은 “달은 과학·비즈니스·문화가 융합되는 신(新) 블루오션”이라며, 연구 개발과 콘텐츠 산업의 시너지를 강조했습니다.

🌑 라이브이슈KR는 앞으로도 달 탐사의 결정적 순간을 독자 여러분께 신속·정확하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