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라이브이슈KR 취재팀입니다.


26일 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주요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소방당국은 리튬이온 배터리실에서 시작된 불길을 약 10시간 만에 초진했으나, 무정전전원장치(UPS)·서버랙 손상으로 장애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정부24·국민신문고·인터넷우체국 등 70여 개 시스템이 일시 정지됐습니다.” – 행정안전부 브리핑 중


1. 사건 개요 🔥

화재는 26일 20시 15분 UPS 교체 작업 중 일어난 배터리 폭발에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전산실에는 2010년 설치된 구형 리튬이온 모듈이 다수 남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센터 내부 소방 설비는 7급 청정가스 소화 방식이었으나,전기설비 잔열을 완전히 잡지 못해, 진화 과정에 소방수가 부분 투입되었습니다.


2. 피해 규모 및 영향 📊

행안부에 따르면 정부24, 홈택스, 우정사업본부 전산망, 복지로, 나라장터 등이 동시에 멈췄습니다. 특히 추석 연휴 배송 물량이 집중된 인터넷우체국이 마비돼 시민 불편이 컸습니다.

행정 절차 지연으로 각종 증명서 발급전자민원 처리가 지체되며,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팩스·오프라인 창구로 업무를 임시 전환했습니다.


3. 원인과 구조적 문제 🛠️

전문가들은 “이중화 미비와 노후 배터리 관리 부실”을 핵심 원인으로 지적합니다. 카카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권고된 ‘전력·네트워크 이원화’가 이번 정부 센터에는 충분히 적용되지 않았다는 지적입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측은 “연차별 UPS 교체를 진행 중이었으며, 이번 교체 대상 1·2호실에서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4. 복구 현황 및 일정 ⏳

27일 11시 기준, 우편·금융 전산은 60%가량, 행정·세무 시스템은 40%가량 복구됐습니다. 완전 정상화 목표 시점은 30일 24시로 제시됐습니다.

데이터센터 화재 현장
▲ 진화 직후 내부 점검 모습 (출처: IT데일리)


5. 이용자 대처 방법 💡

① 급한 주민등록 등·초본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민원창구에서 무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등기·소포는 우체국 현장 창구 접수만 가능하며, 배송 지연이 예상됩니다.
세금 납부는 은행 창구 또는 ‘위택스’ (지방세)를 우선 이용하면 됩니다.


6. 유사 사고와 교훈 📝

지난해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가 먹통이 되며, 민간·공공 모두 ‘재해 복구(BCP)’ 강화 필요성이 대두됐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공공망조차 DR센터 전환이 즉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드러냈습니다.


7. 전문가 분석 🧑‍💼

김승주 고려대 교수는 “데이터센터 화재는 전력설비·배터리·케이블 난연성 등 물리적 안전과, 즉각적인 트래픽 이관 체계가 함께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차세대 센터엔 리튬배터리 대신 LFP·우분트실 간 방화벽 강화가 필수”라고 제언했습니다.


8. 앞으로의 과제 🚧

정부는 전국 12개 공공 데이터센터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에 착수했습니다. 내년 예산안에는 분산 클라우드 전환 비용 3,200억 원이 편성될 예정입니다.

또한 실시간 재난 알림 시스템과 대체 서비스 포털 구축으로 시민 불편 최소화를 약속했습니다.


9. 결론 ✍️

이번 데이터센터 화재는 디지털 행정의 ‘단일 장애점’이 얼마나 큰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는지 상기시켰습니다. 물리적 안전논리적 이중화를 병행하는 전면적 개선이 시급합니다.

라이브이슈KR은 복구 완료후속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적해 전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