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더핑크퐁컴퍼니 IPO 확정: 공모가 3만8000원·상장 11월 18일… ‘아기상어’ IP로 확장하는 엔터테크 전략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 더핑크퐁컴퍼니가 공모가를 3만8000원으로 확정하고 일반 청약에 돌입했습니다1.

상장 예정일은 11월 18일로 공지됐으며, 확정 공모가 기준 상장 시가총액은 약 5453억원으로 제시됐습니다1,3.

더핑크퐁컴퍼니 IPO 이미지
이미지 출처: 플래텀 보도 이미지입니다.

더핑크퐁컴퍼니는 2010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핑크퐁아기상어(Baby Shark), 호기, 베베핀, 씰룩 등 다채로운 키즈 IP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2.

특히 ‘뚜루루뚜루’로 알려진 아기상어는 글로벌 영상 플랫폼에서 폭발적 반향을 일으킨 대표 IP로, 콘텐츠·라이선스·머천다이즈로 이어지는 멀티 소싱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기관 수요예측에는 약 2300개 기관이 참여했고 최종 615.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가 상단 결정에 힘을 보탰습니다4.

회사 측 공모 금액은 약 760억원 규모로 집계되며, 상장 직후 유통 물량과 기관 의무보유 확약 수준에 따라 초기 변동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큽니다4.

공모가 상단 확정 관련 이미지
이미지 출처: 이코노미스트 보도 이미지입니다.

더핑크퐁컴퍼니의 사업 모델은 콘텐츠 유통IP 라이선싱, 머천다이징·공연의 3축으로 설명되며, 자체 IP를 중심으로 D2C(Direct to Consumer) 강화 전략을 병행합니다.

회사는 기술과 스토리텔링을 결합하는 엔터테크 지향점을 제시하며, 플랫폼 데이터 분석과 글로벌 유통 파트너십을 통해 수익 다각화를 추진합니다.

김민석 대표는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 융합을 통한 ‘엔터 테크’ 기업 비전을 재확인하며 상장 이후 성장 가속화를 언급했습니다5.

핵심 IP인 아기상어에 더해 베베핀씰룩 같은 신작 라인업이 확대되며, OTT·방송·유튜브 등 멀티 플랫폼 전개가 병행됩니다.

업계 보도에 따르면 이번 딜에는 공동 주관사로 미래에셋 등 주요 증권사가 참여했으며, 일반 청약은 11월 6일~7일 이틀간 진행됩니다3 🗓️.


투자 포인트로는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한 핑크퐁·아기상어 브랜드 파워, 라이선스와 머천다이즈로 이어지는 롱테일 수익 구조, 그리고 신규 IP 파이프라인이 꼽힙니다.

여기에 북미·유럽·아시아 등 지역별 파트너십 확장과 OTT 협업 확대 가능성은 상장 이후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반면 리스크로는 특정 IP 의존도, 플랫폼 정책 변화, 환율 변동, 유아동 콘텐츠 규제 이슈 등이 존재하며, 신작 성과의 변동성이 실적 가시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공모가 상단 기준 시가총액 5453억원은 국내 유관 산업군과 비교 시 브랜드 프리미엄을 반영한 구간으로 해석되며, 상장 후 실적 추정치와 멀티플 재평가가 관전 포인트로 제시됩니다.

일반 청약 시작 관련 이미지
이미지 출처: ZDNet Korea 보도 이미지입니다.

실무 측면에서는 청약 증권사 수수료, 청약 우대 기준, 균등·비례 배정 구조를 사전에 점검하고, 환불 및 상장 일정을 캘린더에 기록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상장 전후로는 의무보유 확약 해제 시점, 분기 실적 가이던스, 신규 IP 론칭, 글로벌 파트너십 공시 등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이벤트를 유의해야 합니다.

핵심 요약 📝
공모가: 3만8000원1,4 · 수요예측: 615.9대 14 · 상장일: 11월 18일 예정3 · 시총: 약 5453억원1


더핑크퐁컴퍼니는 ‘스토리·음악·캐릭터·기술’을 묶는 엔터테크 전략으로 핑크퐁 상장 이후의 성장을 준비하고 있으며, IPO를 발판으로 글로벌 키즈 콘텐츠 생태계에서 존재감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공식 공시와 증권사 안내를 통해 최신 정보를 재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참고·출처(일부 보도 인용)
1) 플래텀: 공모가 상단 확정 및 시총 전망 보도 링크입니다. 바로가기
2) 이코노미스트: 회사 설립 연도 및 IP 포트폴리오 보도 링크입니다. 바로가기
3) 네이버 블로그 보도 정리: 일반 청약 및 상장 예정일 정리 링크입니다. 바로가기
4) ZDNet Korea: 수요예측 경쟁률·참여 기관·공모 금액 보도 링크입니다. 바로가기
5) 다음금융 인용 보도: 대표 발언 및 비전 관련 보도 링크입니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