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극우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가 새벽 시간대부터 접속이 전면 차단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 생태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11일 오전 1시경부터 ‘ilbe.com’ 도메인은 브라우저에서 ‘503 Service Unavailable’ 오류를 표출했습니다. 국내·해외 DNS 모두 동일 증상을 보였으며, 모바일·PC 환경을 불문하고 접속이 불가했습니다.
🕵️♂️ 확인 결과 서버 IP는 그대로이나 웹 애플리케이션 레이어가 응답하지 않는 상태였습니다. 전문가들은 “물리 서버 중단이 아니라 WAF·방화벽 또는 도메인 설정 변경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정치적 차단 조치인지, 운영진의 셧다운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 인터넷진흥원 익명 관계자
일베는 2010년 ‘디시인사이드’의 ‘일간 베스트’ 게시판에서 파생돼 독립한 커뮤니티입니다. 초기엔 유머 게시물이 주류였으나, 사회·정치 성향이 점차 극우 쪽으로 기울며 논란이 증폭됐습니다.
특히 혐오 표현·지역 비하·고인 모독 게시물이 반복 노출되자, 2013년 이후 주요 포털 검색 제휴가 해지됐고 광고사들이 대거 철수한 전례가 있습니다.
그간 트래픽 감소에도 충성 이용자가 유지돼 왔지만, 이번 전면 차단 사태로 커뮤니티 존속 자체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 운영 측면에서 볼 때 일베의 서버는 해외 클라우드 업체를 거쳐 로케이션을 다단 분산해 왔습니다. 만약 계약 만료 또는 법적 압류가 발생했다면, 복구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반면 일부 회원들은 “운영진이 커뮤니티 자산을 매각했다”고 주장합니다. 실제 최근 중국계 호스팅사로 서버 A레코드가 이동했다는 추적 결과도 제시됐습니다.
🙋♀️ 이용자 행선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접속 실패 직후 텔레그램·디스코드 등에서 ‘난민 방’이 생성됐고, 일부 사용자는 원조 격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로 이동했습니다.
디시 측은 오전 9시 공지에서 “일베 난민 유입이 확인되면 게시글 삭제·차단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커뮤니티 간 컨텐츠 필터링 전쟁이 가시화되는 모양새입니다.
법조계는 정보통신망법 제44조(불법 정보 유통 차단) 및 형법상 모욕·명예훼손 위반 여부를 점검 중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관계자는 “정식 접속차단 명령을 내린 사실은 없다”며 “현 단계에선 민간 서버 이슈일 수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개정된 디지털 플랫폼 책임법은 ‘지속적 위법 콘텐츠 방치’ 사이트에 대해 폐쇄 조치를 가능케 합니다. 업계는 일베 사건이 첫 시험대가 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 트래픽 지표를 보면, 지난해 일베 월간 순방문자(MAU)는 46만 명(모바일·PC 합산)까지 하락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디시인사이드 MAU는 690만 명으로 15배 규모 차이를 보였습니다.
따라서 일베 폐쇄가 현실화될 경우, 극단 성향 게시글이 주요 커뮤니티로 재확산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는 콘텐츠 자율규제 체계의 부담을 한층 높일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혐오 표현을 근절하기 위해선 플랫폼·이용자·정부가 3자 협력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AI 콘텐츠 필터와 법적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을 병행해야 효과가 크다는 분석입니다.
☑️ 일베 사태는 단순 사이트 장애를 넘어,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 문화의 성숙도 시험대가 되고 있습니다. 후속 조치가 주목됩니다.
▲ 출처: 서울경제 (202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