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두산에너빌리티 주가가 최근 6만 3,500원 선까지 회복했습니다.

이는 52주 최고가 7만 2,200원 대비 아직 –13% 수준이지만, 작년 최저가 1만 5,150원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두산 로고
출처: Doosan Group

핵심 키워드인 원전·가스 복합 수주 모멘텀과 SMR(소형모듈원전) 기대감이 주가를 지탱하는 주요 배경입니다.

특히 베트남, 체코, 사우디 등 해외 시장에서 총 8조 원이 넘는 신규 계약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수주 파이프라인’이 두터워졌습니다.

“2025년까지 누적 수주 10조 원 달성이라는 목표는 현실적인 수치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 두산에너빌리티 IR 자료

2분기 실적도 주목할 만합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 늘어난 4조 1,200억 원,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1,120억 원)했습니다.

주가가 단기 급등 후 조정을 거쳤다는 점에서 기술적 매물 부담은 일부 해소된 상태입니다.

투자지표를 살펴보면 PBR 2.1배, EV/EBITDA 11.8배 수준으로 국내 기계·플랜트 업종 평균을 소폭 상회합니다. 하지만 SMR 사업 가치가 본격 반영되면 밸류에이션 재평가 여지는 충분합니다.


📊 차트 분석

50일 이동평균선(5만 9,000원)을 단단히 지키며 우상향 추세를 살렸습니다. 거래량이 동반 증가한 점은 기관 수급 유입 신호로 해석됩니다.

RSI 62, MACD +0.31 수준으로, 과열 구간은 아니지만 추가 상승 시 6만 8,000원~7만 원대 단기 저항을 테스트할 전망입니다.

원전 이미지
출처: Unsplash

🛠️ 리스크 체크

① 프로젝트 지연에 따른 손실충당금 확대
②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마진 압박
③ 엔화 약세로 인한 일본 경쟁사 견제 등이 잠재적 변수입니다.

정부의 탄소중립·에너지전환 정책은 분명한 호재입니다. 2030년까지 국내 원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로드맵이 유지되는 만큼, 국내외 원전 생태계 수혜가 기대됩니다.


🔍 투자 전략

• 단기: 6만 1,000원 부근 지지선 확인 후 거래량 동반 돌파 시 7만 원까지 스윙 트레이딩 가능
• 중장기: SMR 상용화 윤곽(2028년 전망) 전까지 ‘모멘텀→실적’ 구조적 성장 구간을 노려 볼 만합니다.

기관 목표가는 평균 7만 8,000원, 최고 9만 원까지 제시됐습니다. 특히 해외 SMR 첫 수주가 공식화될 경우 비선형적(Non-linear) 상승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반면, 단기 급등 시 차익실현 매물이 몰릴 수 있어 분할매수·분할매도 전략이 권장됩니다.

TIP 💡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움직임은 원전 테마 ETF, 가스터빈 기자재 업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포트폴리오 분산에 참고하십시오.

최근 개인 투자자 순매수 상위 5위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면서도, 기관·연기금 비중이 27%를 넘어선 점은 시장 신뢰를 방증합니다.

ESG 관점에서도 ‘친환경 수소터빈’ 사업을 병행하며 RE100 달성 로드맵을 제시한 것은 장기 투자자에게 긍정적 요소입니다.

결론적으로, 두산에너빌리티 주가SMR 기술력·대규모 수주·친환경 사업 다각화라는 ‘삼박자’를 바탕으로 재평가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투자에 앞서 리스크를 점검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추어 접근한다면 원전 대장주의 성장 스토리를 함께 누릴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