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라핀 오일은 램프·히터·토치 등에서 흔히 쓰이는 연료입니다만, 최근 캠핑장에서 물로 오인해 발생한 집단 섭취 사고가 여론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파라핀 오일은 냄새·그을음이 적고 투명해 물과 헷갈리기 쉽습니다.*석유계 정제유*라고만 알고 있으면 사고 예방이 어렵습니다.
출처 : KBS 뉴스 화면 캡처
11일 새벽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의 한 캠핑장에서는 11명이 파라핀오일을 물로 착각해 라면을 끓여 먹고 구토·메스꺼움 증세로 병원에 이송됐습니다.
“무색무취라서 뚜껑만 열어서는 알 수 없었다.” – 사고 당시 캠퍼 인터뷰
의료진은 소화기 세척과 호흡기 흡입 여부 관찰을 병행했습니다. 흡인성 폐렴은 섭취 24시간 이내 발생할 수 있어 집중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전문가들은 “연료와 식수를 분리 보관하고, 큰 글씨 라벨을 붙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비슷한 페트병에 담는 습관은 절대 금물입니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
📌 파라핀 오일 안전 수칙
① 원통형 금속 용기 그대로 사용
②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서늘한 장소 보관
③ 이동 시 밀폐 뚜껑 상태 확인
등유·화이트가솔린과 달리 파라핀 오일은 40℃ 이상 고점화 온도를 가져 비교적 안전하지만, 인체 독성은 여전합니다.
만약 실수로 섭취했다면 즉시 물·우유를 억지로 마시게 하지 말고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기도 흡입 위험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국내 KC 인증 기준은 가연성·휘발성 표시, 어린이 보호포장을 의무화했습니다. 제조·유통사는 표시 위반 시 행정처분을 받습니다.
보험업계는 ‘캠핑 배상 특약’에 파라핀 오일 사고를 포함하기 시작했습니다. 소비자는 약관을 꼼꼼히 확인해 두는 편이 좋습니다.
🛠️ 대체 연료 선택도 방법입니다. 최근 식물성 바이오 오일·LED 랜턴이 각광받고 있어, 연료 자체를 줄이는 흐름도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안전한 캠핑 문화는 ‘사소한 구분’에서 시작합니다. 투명한 액체가 보이면 “연료인지 물인지” 한 번 더 확인하는 습관이 우리 모두를 지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