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미국 관세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왜 지금 관세를 올리나?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무역이 상호적이지 않다”며 ‘무역장벽 철폐’를 요구했습니다.

백악관은 7일 발표문에서 “한국이 비관세 장벽을 유지한다면 관세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관세율 세부 내용

  • 시행 시점: 2025년 8월 1일 0시(현지 기준)
  • 대상 품목: 모든 HS 코드의 한국산 제품
  • 관세율: 기존 10~24% → 일괄 25%로 상향
  • 조정 조건: 한국이 무역장벽을 철폐할 경우 단계적 인하

트럼프 관세 서한 공개
출처=연합뉴스

“8월 1일부터 25% 관세는 시행된다. 한국이 공정무역 원칙을 수용하면 우리는 재고할 준비가 돼 있다.” – 트럼프 대통령 서한 중


🔍 한국 수출기업의 타격은 불가피합니다. 자동차·배터리·철강·반도체 등 주력 5대 업종의 대미 수출 비중은 평균 23.6%*관세청 2024에 달합니다.

관세가 그대로 전가될 경우 가격 경쟁력은 최대 30% 약화될 전망입니다.


📈 금융시장도 즉각 반응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발표 직후 17원 급등했고, KOSPI 수출주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특히 자동차 부품주는 하루 만에 평균 4.2% 급락했습니다.


🛡️ 정부 대응 –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USTR과 막판 협상팀을 가동했습니다. 목표는 ‘품목별 예외’ 확보 및 WTO 협정 위반 소지 검증입니다.

외교부는 “동맹국 간 일방 관세는 불합리하다”고 밝혔지만, 협상 시한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는 점이 변수입니다.


🌍 글로벌 파장도 큽니다. 같은 날 일본·말레이시아·라오스 등 12개국도 서한을 받았으며 EU는 ‘잠정 합의’로 급한 불을 껐습니다.

중국은 이미 145% 관세를 적용받고 있어, 공급망 재편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 기업별 대응 전략

  1. 미국 현지 생산 확대 또는 멕시코 우회 생산 검토
  2. FTA 관세 혜택 활용 – 멕시코·캐나다 USMCA 원산지 판정
  3. 환 헤지, 원자재 선물거래로 원가 변동성 최소화
  4. 고관세 품목은 고부가가치 모델로 전환

📝 투자자 체크포인트

  • 달러 강세 지속 시 수입물가 상승 위험
  • 해운·물류주는 단기 수혜 가능성
  • 🇺🇸 현지 생산 비중 높은 설비·부품주는 방어력 우수

관세 청구서에 떨고 있는 세계
출처=중앙일보


🔮 전망 시나리오

타결: 한국이 일부 시장 개방을 제안해 관세 인상을 10% 이하로 낮춤.
부분 타결: 핵심 품목 위주 예외 인정, 나머지는 25% 유지.
미타결: 25% 전면 발효, 연내 WTO 분쟁으로 장기화.


결론‘미국 관세’ 카운트다운이 시작됐습니다. 기업·투자자·정부 모두 다층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협상 테이블의 향방과 시장 변동성을 지속 추적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