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tr202507031d95fb49-42a5-4c8b-be33-cda52b9a5df3.jpg

📰 17일 국방부는 편무삼 육군 준장을 국군방첩사령부(이하 방첩사) 사령관 직무대리에 임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인사는 방첩사가 12·3 불법계엄 관여 의혹으로 수장이 공석이 된 뒤 조직 안정이 시급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결정입니다.

편무삼 준장(출처: 경향신문)


특히 편무삼 준장은 육군사관학교가 아닌 학사장교 27기 출신으로, 그동안 육사 편중이라는 군 지휘 구조의 고착화에 균열을 낸 상징적 인물로 평가됩니다.

그는 2작전사령부 작전처장, 7공수여단장, 방첩사 작전계획처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작전·정보·방첩 전 분야를 경험했습니다.


“현시점에서 방첩사 조직 안정을 이끌 적임자입니다.” — 국방부 관계자

방첩사는 오는 2026년 국방정보본부·각 군 정보단으로 기능이 분산되는 조직 개편을 앞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직무대리의 리더십은 단순한 공백 메우기를 넘어 ‘연착륙 준비’라는 전략적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MBC 뉴스 캡처(출처: MBC)


전문가들은 방첩 기능이 국방 사이버·기밀보호·안보수사 영역으로 세분화되며 기술 첩보 대응이 강화될 것이라 내다봅니다.

이에 따라 AI 기반의 정보 분석, 드론·위성 감시체계 연계 등 과학화 방첩이 편 준장의 우선 과업으로 지목됩니다.


또한 부대원 사기 진작 역시 중요 과제입니다. 최근 방첩사 내부에서는 잇단 수사·감찰로 인한 피로감이 높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편무삼 준장은 “수평적 소통”을 강조해 온 만큼, 간담회·직원 설문 등으로 조직문화 혁신을 추진할 가능성이 큽니다.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

군 안팎에서는 소장급 격하 논의가 진행 중인 방첩사령관 보직을 ‘원스타’가 수행하게 된 점도 주목합니다. 이는 ‘거품 인력’ 축소와 지휘 라인 단순화를 통해 기동성·책임성을 강화하려는 신호로 읽힙니다.


정치권에서는 개혁 드라이브가 속도 조절 단계에 접어든 만큼, 편 준장의 배경이 ‘탕평‧실무형 인사’라는 점을 높이 평가합니다.

다만 과도한 임시조직 체제군 안보 공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국방부와 합참의 유기적 협력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 요약
1 편무삼 준장, 첫 비육사 방첩사령관 직무대리
2 2026년 기능 분산 앞두고 조직 안정·개혁 과제
3 과학화 방첩·사기 진작이 핵심 키워드

국방부는 이번 인사가 “조직을 미래형 안보기관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초전”이라며, 편무삼 직무대리 체제에서 방첩사 개혁 로드맵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그의 리더십이 한국 군 정보체계의 새 지도를 그려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