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서울 중구 소공로에 자리한 신세계백화점 본점이 5일 오후 갑작스러운 폭파 협박으로 발칵 뒤집혔습니다. ‘오후 3시에 폭발물이 터진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되면서 직원과 쇼핑객 약 4천여 명이 순식간에 거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남대문경찰서는 신고 접수 10분 만경찰특공대(EOD)를 투입했습니다. 소방당국은 고가사다리차·구급차 등 37대 장비와 139명 인력을 급파해 혹시 모를 인명피해에 대비했습니다.

긴급 대피 현장
▲ 이용객들이 황급히 백화점을 빠져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제가 된 폭파 협박 글은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올라왔습니다. 작성자는 “신세계백화점 본점 1층에 폭약을 설치했다”며 “오늘 오후 3시에 폭파된다”는 구체적 시간을 명시했습니다.

이에 신세계백화점 측은 곧바로 전 층 영업을 중단하고 안내 방송을 통해 고객에게 대피를 요청했습니다. 거리에는 쇼핑백을 든 시민, 유모차를 끄는 가족이 뒤섞여 일대 교통이 혼잡을 빚었습니다.


15시까지 안전 확인될 때까지 영업을 재개하지 않겠습니다.” – 신세계백화점 관계자

특공대 수색
▲ 경찰특공대가 1·2층 매장을 샅샅이 수색 중이다. (이미지=KBS 유튜브 갈무리)


폭발물 처리반은 본관과 신관, 지하 주차장을 3단계 수색했습니다. 탐지견을 동원한 정밀 탐색에도 폭발물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오후 4시 40분쯤, 경찰은 “위험 요소 미확인”이라며 통제를 해제했습니다.

이번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은 최근 전국에서 잇따르는 허위 폭발물 신고와 맥을 같이합니다. 7월 말부터 학교·공항·터미널을 겨냥한 비슷한 글이 60여 건 넘게 올라왔고, 대부분 장난·보복성 협박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은 IP 추적로그 분석을 통해 글 작성자를 쫓고 있습니다. 정보통신망법·위계공무집행방해가 적용될 경우, 최대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명동 일대 통제
▲ 명동 일대 차량이 전면 통제된 모습. (사진=중앙일보)


전문가들은 사이버 테러실질적 사회 혼란을 초래한다며 엄정 대처를 주문합니다. 한국테러학회 김OO 교수는 “허위 정보 유포가 반복되면 실제 위기 대응이 느슨해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유통업계도 비상입니다. 다른 대형 백화점·쇼핑몰은 CCTV 감시 강화출입 보안 인력 추가 배치선제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한편, 명동 상인들은 “폭파 협박으로 오후 매출이 급감했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2시간 넘는 통제 여파로 관광객 발길이 뚝 끊겼다는 설명입니다.

경찰은 “공공시설을 겨냥한 협박은 결코 묵과하지 않겠다”면서 시민들에게도 허위정보 공유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결국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은 실체 없는 위협으로 끝났습니다. 그러나 온라인 발 허위 글이 도시 한복판을 멈춰세운 교훈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디지털 장난’이라 치부하기엔 사회적 비용이 너무 크다는 사실이 재확인됐습니다. 😟

라이브이슈KR는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 사건 수사 진행 상황과 추가 대책이 나오는 대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