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리카TV가 2006년 첫 전파를 탄 이후 어느새 20년차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실시간 소통’이라는 초심을 지키면서도 SOOP(숲)·프릭업 스튜디오·e스포츠 리그까지 외연을 넓혀 왔습니다.
🌳 최근 화제의 키워드는 단연 SOOP입니다. 아프리카TV는 2024년 하반기부터 자사 서브 브랜드를 ‘숲’으로 통합하며, Live 2.0 전략을 공표했습니다. 회사 측은 “누구나 자유롭게 콘텐츠로 소통하는 숲을 조성한다”고 밝혔습니다.
👥 이러한 확장에 발맞춰 2024 신입 공개채용도 진행 중입니다. 개발·PD·데이터 분석 인재를 대거 모집하며, ‘콘텐츠 R&D 센터’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 e스포츠는 여전히 플랫폼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축입니다. 프릭업 스튜디오는 개관 4주년을 맞아 총 35개 종목 152개 시즌의 리그를 제작했습니다. 현장 관람객과 온라인 시청자가 동시에 호응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안정화됐습니다.
이미지 출처: 인벤
📜 특히 2025년에는 ‘AfreecaTV Valorant League’와 ‘SOOP Billiards 챔피언십’이 신규 편성돼, FPS·당구 종목의 팬 층을 끌어모을 전망입니다.
💡 플랫폼 기능도 한층 진화했습니다. 다중 송출 멀티뷰 기능으로 시청자는 최대 4개의 방송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습니다. 또 AI 실시간 자막과 음성 필터가 탑재돼 해외 시청자의 유입이 18% 증가했습니다.
“인터랙티브 광고 도입으로 BJ와 브랜드 모두 윈윈하는 생태계를 조성했습니다.” – 아프리카TV 마케팅본부
📈 수익 구조를 살펴보면, 2024년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11.3% 증가한 3,264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별풍선·애드핏 광고·e커머스가 고르게 성장했으며, 해외 결제 비중도 9%까지 확대됐습니다.
🌐 해외 시장 공략도 가속화됩니다. 태국·베트남·일본 서버가 각각 현지화 작업을 마쳤고, 2025년 상반기에는 북미 법인 설립이 예정돼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크리에이터가 별풍선·슈퍼챗과 유사한 ‘Star Seed’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SOOP IR
🔒 보안과 정책 측면에서도 변화가 있습니다. 실시간 AI 모니터링을 도입해 불법 도박·음란물 송출을 3초 내 차단합니다. 또한 청소년 보호 모드가 기본값으로 적용돼, 만 18세 미만 이용자는 밤 12시 이후 접속이 제한됩니다.
🤝 크리에이터 파트너십은 ‘1000만 원 제작 지원 프로그램’으로 업그레이드됐습니다. 선정된 BJ는 방송 장비·스튜디오·제작비를 지원받아 오리지널 시리즈를 선보일 수 있습니다.
🏆 ‘2024 아프리카TV 대상’은 12월 코엑스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올해는 메타버스 공간을 병행해, 가상 관객 5만 명이 동시에 시상식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SOOP 채널
⚔️ 경쟁 구도도 치열합니다. 유튜브·트위치가 ‘수퍼 땡스’와 ‘하이프 트레인’으로 후원 모델을 강화하자, 아프리카TV는 수수료를 20% 인하해 크리에이터 이탈을 최소화했습니다.
🚀 앞으로의 로드맵은 분명합니다. AI 추천 엔진, VR 라이브, 블록체인 정산 시스템이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는 시청 경험과 수익 투명성을 동시에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 요약하자면, 아프리카TV는 SOOP 확장, e스포츠 리그 다각화, 글로벌 진출, AI 기술 접목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플랫폼이 직면한 과제는 ‘신뢰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며, 그 해답은 기술 혁신과 크리에이터 상생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아프리카TV의 행보를 면밀히 관찰하며, 독자 여러분께 가장 빠르고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