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워치 티머니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습니다. 22일 출시된 ‘애플페이 티머니’는 애플워치만 ‘톡’ 대면 버스·지하철을 탈 수 있는 첫 공식 교통결제 서비스입니다.
🚍 출시 배경입니다. 애플페이는 2023년 3월 국내 상륙했지만 교통카드 기능이 빠져 있었습니다. 티머니와의 제휴로 2년 만에 교통카드 공백을 해소했습니다.
⏰ 시작 날짜는 2025년 7월 22일이었습니다. 아이폰·애플워치 이용자는 이날부터 전국 대부분 대중교통에서 선불 티머니를 쓸 수 있습니다.

1. iPhone 등록 방법입니다. ‘지갑’ 앱 상단 ‘+’ → ‘교통카드’ → ‘티머니’ 순으로 선택하면 끝입니다. 초기 충전금액(1,000원~20,000원)을 설정하고 Face ID로 결제하면 카드가 추가됩니다.
2. 애플워치 연동은 더욱 간단합니다. iPhone에서 추가된 티머니 설정 화면 하단 ‘Apple Watch에 추가’를 누르면 즉시 워치로 동기화됩니다. 워치OS 10.2 이상, 시리즈 6·SE2 이후 모델이 필요합니다.
3.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모드 덕분에 Face ID·비밀번호·버튼 입력 없이 터치만으로 결제됩니다. 배터리가 0% 직전이라도 최대 5시간 NFC 전력 예비 기능이 유지돼 ‘막차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4. 충전‧자동충전입니다. 잔액이 부족하면 애플페이에 등록된 현대카드·국내/해외 신용카드로 즉시 충전할 수 있습니다. ‘자동충전’을 켜 두면 잔액이 3,000원 미만일 때 지정 금액(1만·2만·3만 원)만큼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5. 청소년·어린이 할인이 궁금하다면 ➡️ 지갑 앱 ▸ 티머니 카드 ▸ 세부 정보 ▸ 이용자 유형에서 생년월일을 등록하십시오. 실명인증 후 24시간 이내 할인 적용이 완료됩니다.
“툭 대면, 바로 탑승!”*애플코리아, 2025-07-22 보도자료 중*
6. 제약 사항도 있습니다. 현재는 선불형만 지원됩니다. 후불 교통비 환급 카드(K-Pass), 기후동행카드 등은 연동되지 않았습니다. 티머니 측은 “후불·정기권 기능은 연내 순차 확대”라고 설명했습니다.
7. 수도권 외 지역 호환성도 핵심 키워드입니다. 티머니가 이미 전국 270여 지자체 버스·지하철을 지원하므로 대부분 지역에서 결제가 가능합니다. 단, 일부 농어촌 버스 단말기는 연말까지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8. 보안·개인정보 측면에서 애플은 토큰화(Tokenization) 기술로 실제 카드번호를 단말기에 저장하지 않고, 티머니 또한 사용 이력만 보존하며 위치·개인정보는 수집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9. 사용자 반응을 살펴보면, 커뮤니티 ‘클리앙’에서는 “아이폰·워치 잔액이 개별로 관리된다”는 점이 불편하다는 의견이, X(구 트위터)에서는 “지방여행 시 애플워치 하나로 해결”이라는 긍정 반응이 공존했습니다.
10. 삼성페이·카카오페이와 비교하면, 삼성페이(모바일 티머니)는 후불·청소년 할인·정기권까지 지원하지만 갤럭시 한정입니다. 애플워치 티머니는 iOS·watchOS 연동과 ‘익스프레스 모드’로 속도를 앞세웠습니다.

11. 활용 꿀팁입니다. 출근·등교 분들은 ‘스마트 스택’에 티머니 잔액 위젯을 띄워 잔액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또한 Siri 단축어 ‘잔액 알려줘’를 만들면 음성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 해외 여행 시에도 티머니 카드를 일시 비활성화 후, 현지 교통카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한국 귀국 후 다시 활성화하면 잔액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13. 앞으로의 로드맵입니다. 티머니는 ‘기후동행카드·정기권·후불 충전’을 단계적으로 지원하며, Apple은 국내 은행들과 후불 청구 기능을 협의 중입니다.
14. 결론입니다. 애플워치 티머니는 간편성·보안성·확장성을 한꺼번에 잡았습니다. 아직 미흡한 후불·정기권만 보완된다면 아이폰·애플워치만으로 지갑을 완전히 대체할 날이 머지않았습니다.
✨ 오늘부터 애플워치 티머니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택시·투숙·편의점 결제까지 넓혀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