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원티드랩 2분기 실적이 던진 시사점

HR테크 기업 원티드랩이 2분기 매출 96억~97억원, 영업이익 5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분기 대비 21% 성장한 수치입니다.


채용시장 침체 속에서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는 점은 국내 HR 플랫폼 산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됩니다.

특히 AX(AI Transformation) 신사업이 매출 비중을 끌어올리면서 ‘채용·교육·전환’을 아우르는 수익 포트폴리오를 강화했습니다.

“2026년까지 채용 사업과 신사업 매출 비중을 1:1로 맞추겠습니다.”
—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 14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 AI 인재풀과 정액제 모델 도입

원티드의 강점은 국내 최대 규모의 AI 기반 인재 데이터베이스에 있습니다. 기업이 원하는 조건을 입력하면 알고리즘이 맞춤형 후보를 실시간 추천합니다.

올해 1분기 도입한 정액제(Subscription) 과금 모델은 도입 첫 분기 대비 60% 이상 고객사가 늘어났습니다.*회사 자료 기준

원티드랩 실적 자료

▲사진=ZDNet Korea 캡처


🎓 취업·재교육 플랫폼으로 진화

채용 서비스를 넘어 교육 콘텐츠까지 확장한 것이 실적 개선의 배경입니다. 최근 개설된 [AI 기반 프론트엔드 & 백엔드 협업 과정 1기]는 48시간 만에 조기 마감됐습니다.

프론트엔드&백엔드 과정

▲출처=Event-us, 원티드랩 제공

수강생은 실무 과제를 통해 프론트엔드·백엔드 통합 협업 능력을 검증받고, 우수 인재는 기업 매칭까지 지원받습니다.


🏢 기업·구직자 모두에게 실용적 혜택

기업은 복수 포지션을 정액으로 등록해 인재 확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반면 구직자는 합격 시 보상금을 지급받아 동기부여가 극대화됩니다.

백엔드 개발자·데이터사이언티스트·AI리서처 등 기술 직군 외에도, 세일즈·마케팅 직군 채용 공고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AX 사업 소개

▲출처=Platum


📊 투자자 관전 포인트

시장 전문가들은 “AX 매출 비중이 30%를 넘어서는 시점이 주가 재평가의 트리거가 될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원티드랩은 올해 하반기 북미 SaaS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파트너십을 체결할 예정이며, ESG 관리차원에서 AI 윤리 가이드라인도 공개합니다.


📌 HR 트렌드와 비교 우위

글로벌 경쟁사인 링크드인 리크루터 대비 채용 후 리워드 시스템이 차별화 포인트로 꼽힙니다.

국내 타 플랫폼이 채용공고 중심이라면, 원티드랩AI 매칭·교육·전환(AX)을 한 생태계로 묶어 고객 LTV를 극대화합니다.


💡 실무자를 위한 활용 팁

1) 레퍼럴(지인 추천) 기능을 활용해 내부 인재 추천 시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스킬태그 검색으로 세부 기술 스택 일치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커리어 속성 카드’를 통해 지원자 문화적합도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구직자는 프로필에 깃허브·블로그·논문 링크를 연동하면 노출 우선순위가 높아집니다. 😊


🔭 2026년 로드맵과 전망

원티드랩은 2026년까지 채용:신사업 매출 비중을 1:1로 맞추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연내 AI 인터뷰 봇, 글로벌 리모트 채용 솔루션을 순차 출시해 APAC 시장 진입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입니다.


🔎 마무리

원티드랩은 채용 플랫폼을 넘어 AI 전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실적 개선이 지속된다면, 국내 HR테크 산업의 성장 동력 역시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원티드의 사업 전개와 HR 시장 변화를 면밀히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신속히 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