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이 기독교복음선교회(JMS)와 얽힌 논란으로 과학계와 정치권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포섭 시도 거절”이라는 설명이 나왔지만, 진상 규명 요구는 거세졌습니다.

국감 답변 중인 이광형 총장
▲ 사진 출처: 연합뉴스

이 총장은 “JMS 측이 과거 접촉해 왔지만 학문적 가치와 종교적 허상은 분명히 구분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과학기술계 최고 책임자의 판단력을 문제 삼으며 향후 재발 방지책을 촉구했습니다.


KAIST 내부에서도 연구윤리·리더십·조직 안정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총장 거취를 둘러싼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거 ‘미래전략대학원 설립’ 등 혁신 행보로 이름을 알린 이 총장은, 이번 사태로 개방형 혁신 리더십신뢰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JMS 논란 관련 기사 캡처
▲ 사진 출처: 아이뉴스24

카이스트 총장 선임 절차를 관장하는 KAIST 이사회는 “공식 조사 결과대학 구성원 의견수렴을 반영해 최종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공공기관장의 민감한 외부 네트워크 관리 실패 사례’로 지적하며, 향후 고등교육 기관 전반에 내부 규정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연구 기관 리더가 사적 친분과 공적 직위를 철저히 분리하지 못할 경우, 세계 과학 경쟁력에까지 악영향이 미칠 수 있습니다.” -서울대 정책학부 A교수

실제로 KAIST는 ICT·AI·양자컴퓨팅 등 핵심 분야에서 글로벌 공동 연구가 진행 중이라, 기관 신뢰도 하락 시 국제 파트너십 유지에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학생·동문 사회 역시 “학내 가치인 ‘진리·창의·봉사’가 훼손돼선 안 된다”며 제도적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이사회 결정 언급하는 이광형 총장
▲ 사진 출처: 파이낸셜뉴스

업계 관측통은 새 총장 선임 절차가 지연될 경우, 연구비 배분·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가시적 사업이 동력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반면, 일각에서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대학 거버넌스 투명성이 강화될 것이란 긍정적 전망도 나옵니다.


결론적으로 이광형 총장JMS 포섭 논란 속에서도 “과학기술계 성장 동력 확보”라는 과제에 대한 책임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향후 KAIST 이사회 결정과 국회 후속 조치에 따라, 이 총장의 거취뿐만 아니라 국내 과학기술 리더십의 방향성도 큰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